재정정책: 세금과 정부지출의 역할과 영향

재정정책은 정부가 국가 경제를 관리하는 핵심 도구로, 세금(조세)과 정부지출을 통해 경기변동을 조절하고 사회경제적 목표를 달성하는 정책입니다. 재정정책은 단순한 돈의 흐름이 아니라 국가의 경제 방향과 국민의 삶의 질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정책 수단입니다. 오늘날 세계 각국은 경제 성장, 불평등 해소, 경기 안정화 등 다양한 목표를 위해 재정정책을 적극 활용하고 있습니다. 이번 보고서에서는 재정정책의 기본 개념부터 실제 사례, 그리고 한국과 세계 각국의 재정정책 현황을 종합적으로 살펴보겠습니다.
재정정책의 개념과 기능
재정정책은 정부가 경제 활동에 영향을 미치기 위해 세입(조세)과 세출(지출)을 조정하는 경제정책입니다. '재정'은 정부의 수입과 지출에 관련된 모든 활동을 포괄하는 개념으로, 정부는 국민들에게 부과한 조세(국세 및 지방세)나 국채 발행 등을 통해 확보한 재원을 이용해 보건, 복지, 고용, 교육, 국방, 행정, 공공안전 등 다양한 분야에 지출합니다1.
재정정책의 세 가지 주요 기능
재정정책은 크게 세 가지 핵심 기능을 수행합니다14:
- 자원 배분 기능: 정부는 민간에서 공급이 어려운 공공재를 공급하는 등 시장실패를 보완하는 역할을 합니다. 효율적인 자원배분을 통해 경제 전체의 생산성을 높이는 것이 목표입니다.
- 경제 안정화 기능: 재정정책은 거시 경제의 안정화를 통해 경기변동의 진폭을 축소시켜 불확실성을 줄이고 경제주체의 경제적 선택에 도움을 줍니다. 경기 침체기에는 확장적 재정정책을, 경기 과열기에는 긴축적 재정정책을 실시하여 경제를 안정화시킵니다.
- 소득 재분배 기능: 재정정책은 세금과 복지지출을 통해 소득과 부의 재분배를 촉진하여 경제적 불평등을 완화하는 역할을 합니다. 누진세와 복지 급여는 이러한 재분배 기능의 핵심 수단입니다.
재정정책의 규모와 중요성
한국의 경우, 2022년 정부의 총지출 규모는 약 607.7조 원으로, 이는 우리나라 명목 GDP의 약 1/3 수준에 이르는 규모입니다. 이는 국내 최대 기업인 삼성전자의 시가총액(약 526조 원)보다도 큰 규모로, 정부 지출이 경제에 미치는 영향력이 얼마나 큰지 알 수 있습니다1. 이처럼 대규모의 재정활동은 경제 전반에 걸쳐 깊은 영향을 미치므로, 재정정책을 어떻게 설계하고 운영하느냐에 따라 국가 경제의 향방이 크게 달라질 수 있습니다.
재정정책의 유형: 확장적 vs 긴축적 재정정책
재정정책은 경제 상황과 정책 목표에 따라 크게 확장적 재정정책과 긴축적 재정정책으로 나눌 수 있습니다. 각각의 정책은 서로 다른 경제 상황에서 효과적이며, 정부는 경기 상황에 맞게 적절한 재정정책을 선택해야 합니다.
확장적 재정정책
확장적 재정정책은 경기 침체기에 경제를 활성화하기 위해 정부 지출을 늘리거나 세금을 줄이는 정책입니다. 이 정책은 총수요를 증가시켜 생산과 고용을 늘리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역사적으로 대표적인 확장적 재정정책의 사례는 1933년 미국의 뉴딜 정책입니다. 대공황으로 경제가 침체했을 때, 미국 정부는 적극적인 재정 지출을 통해 일자리를 창출하고 경제를 회복시켰습니다5. 이처럼 위기 상황에서 정부의 적극적인 재정 개입은 경제 회복에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습니다.
최근의 사례로는 코로나19 팬데믹 시기 각국 정부의 대응을 들 수 있습니다. 한국을 포함한 세계 각국은 코로나19로 인한 경제 위기에 대응하기 위해 대규모 재정지출 정책을 실시했습니다. 이 과정에서 이전지출(예: 재난지원금)이 경제 회복에 상당한 효과를 가져온 것으로 나타났습니다19.
긴축적 재정정책
반면, 긴축적 재정정책은 과열된 경기를 안정시키기 위해 정부 지출을 줄이거나 세금을 늘리는 정책입니다. 이는 인플레이션 압력을 완화하고 재정 건전성을 확보하는 데 목적이 있습니다.
한국의 경우, 과거 여러 정부에서 집권 초기에는 확장적 재정정책을 펼치다가 후반기에는 긴축적 기조로 선회하는 패턴을 보였습니다. 노무현 정부, 이명박 정부, 박근혜 정부 모두 집권 후반기로 갈수록 재정충격지수가 마이너스를 기록하며 긴축적 재정정책을 운용했습니다16. 이는 집권 초기 확장으로 악화된 재정 건전성을 회복해야 할 필요성이 커졌기 때문입니다.
정책 선택의 딜레마
정부는 재정정책을 선택할 때 종종 딜레마에 직면합니다. 경기 부양을 위해 확장적 재정정책을 실시하면 단기적으로 경제가 활성화될 수 있지만, 장기적으로는 재정 적자와 국가 부채 증가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반대로 재정 건전성을 위해 긴축적 재정정책을 선택하면 단기적으로 경제 성장이 둔화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재정정책은 단기적 경기 대응과 장기적 재정 건전성 사이의 균형을 찾는 것이 중요합니다. 이는 "건전재정 vs. 확장재정"이라는 끊임없는 논쟁의 핵심이 되고 있습니다5.
세금의 역할과 영향
세금은 정부의 주요 수입원이자 재정정책의 핵심 도구입니다. 세금은 단순히 정부 재원을 마련하는 것 외에도 경제 활동에 다양한 영향을 미치며, 소득 재분배와 자원 배분 효율화에도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세금의 종류와 특성
주요 세금으로는 소득세, 법인세, 부가가치세, 양도소득세, 재산세 등이 있으며, 각 세금은 경제 주체의 행동에 서로 다른 영향을 미칩니다.
특히 법인세와 양도소득세와 같은 주요 세목의 변화는 세수와 경제 활동에 큰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2023년 한국의 세수 감소에서 법인세와 양도소득세의 감소가 전체 세수 감소의 80%를 차지했다는 점은 이러한 세금의 중요성을 보여줍니다17.
조세지출과 경제 활동
정부는 세금 감면이나 공제 등의 형태로 조세지출을 통해 특정 경제 활동을 장려하거나 특정 계층을 지원할 수 있습니다. 한국 정부의 2025년 조세지출 기본계획에 따르면, 경제의 역동성, 민생 안정 및 경기회복을 효율적으로 지원하는 한편 지방소멸과 저출생 등 구조적 문제에도 적극 대응하는 방향으로 조세지출이 계획되고 있습니다3.
그러나 조세지출은 세수 감소로 이어질 수 있으므로, 효율적인 운영과 엄격한 관리가 필요합니다. 이를 위해 한국 정부는 불요불급한 제도 신설을 지양하고, 기존 조세지출의 효과성을 평가하여 적극 정비한다는 방침을 세우고 있습니다3.
감세 정책의 효과와 논쟁
감세 정책은 경제 활성화를 위한 수단으로 자주 활용되지만, 그 효과에 대해서는 논쟁이 계속되고 있습니다. 일각에서는 감세가 투자와 소비를 촉진하여 경제 성장에 기여한다고 주장하는 반면, 다른 한편에서는 감세로 인한 세수 감소가 재정 건전성을 악화시키고 불평등을 심화시킬 수 있다고 우려합니다.
최근 한국에서도 부자 감세가 재정 건전성 악화의 원인이라는 주장과 복지 정책이 정부 부채 증가의 원인이라는 상반된 주장이 대립하고 있습니다17. 이는 세금 정책이 단순한 경제적 문제를 넘어 정치적, 사회적 가치 판단과도 깊이 연관되어 있음을 보여줍니다.
정부 지출의 역할과 효과
정부 지출은 재정정책의 또 다른 중요한 축으로, 경제 활동을 직접적으로 자극하고 사회적 목표를 달성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정부 지출은 그 유형과 방식에 따라 다양한 경제적 효과를 가져옵니다.
정부 지출의 유형과 규모
정부 지출은 크게 경상 지출(공무원 급여, 사회 복지 등)과 자본 지출(도로, 학교 등 인프라 건설)로 나눌 수 있습니다. 또한 직접 지출과 이전 지출(보조금, 사회보장급여 등)로도 구분할 수 있습니다.
한국의 경우, 앞서 언급했듯이 2022년 정부의 총지출 규모는 약 607.7조 원으로 GDP의 약 1/3을 차지합니다. 이렇게 막대한 규모의 정부 지출은 국가 경제에 큰 영향을 미칩니다1.
재정 승수 효과
정부 지출이 경제에 미치는 영향을 측정하는 중요한 개념 중 하나가 재정 승수입니다. 재정 승수는 정부 지출 1단위 증가가 국민소득을 얼마나 증가시키는지를 나타내는 지표입니다.
코로나19 시기에 대한 연구에 따르면, 대부분의 국가에서 순조세(이전지출)의 경기부양 효과가 상대적으로 크게 나타났습니다. 반면, 정부소비에서는 추가적인 경기부양 효과가 뚜렷하게 나타나지 않았습니다. 이는 재난지원금 같은 이전지출이 직접적으로 가계 소득을 증가시켜 소비를 촉진했기 때문으로 볼 수 있습니다19.
구축 효과
그러나 정부 지출의 증가가 항상 기대한 만큼의 경제적 효과를 가져오지는 않습니다. 이는 '구축 효과(crowding-out effect)'라는 현상 때문입니다. 정부가 확장적 재정정책을 시행하면 이자율이 상승하고, 이로 인해 민간 투자가 감소할 수 있습니다18.
구축 효과는 다음과 같은 경로로 발생합니다:
- 정부가 지출을 늘리기 위해 국채를 발행하면 민간에서 빌릴 수 있는 자금이 줄어 이자율이 상승
- 이자율 상승으로 기업의 투자가 감소
- 투자 감소는 총수요 감소로 이어져 정부 지출 증가의 효과를 일부 상쇄
또한, 물가 상승이나 환율 변화를 통해서도 구축 효과가 나타날 수 있습니다. 이러한 구축 효과의 크기는 경제 상황과 정책 수단에 따라 다르게 나타납니다. 심각한 불황 시에는 기업의 투자 수요가 적어 구축 효과가 크지 않을 수 있지만, 완만한 불황에서는 구축 효과가 상당할 수 있습니다18.
재정정책의 소득 재분배 효과
재정정책의 중요한 기능 중 하나는 소득 재분배입니다. 세금과 복지 지출을 통해 정부는 시장에서 형성된 소득 분배를 조정하여 불평등을 완화할 수 있습니다.
소득 재분배 효과의 측정
재정의 소득 재분배 효과는 주로 시장소득 지니계수와 가처분소득 지니계수의 차이로 측정됩니다. 시장소득은 세금과 정부 보조금을 고려하기 전의 소득이며, 가처분소득은 세금을 납부하고 정부 보조금을 받은 후의 소득입니다16.
한국의 경우, 재정의 소득 재분배 효과는 2003년 0.015에서 2016년 0.039로 증가했습니다. 전체 가구 기준으로도 2006년 0.024에서 2016년 0.049로 증가했습니다. 그러나 이는 OECD 국가들의 평균 재정 소득 재분배 효과인 0.12보다는 여전히 낮은 수준입니다16.
한국 정부별 소득 재분배 효과
한국의 정부별로 재정의 소득 재분배 효과는 다르게 나타났습니다. 노무현 정부와 박근혜 정부 시기에는 재정의 소득 재분배 효과가 크게 증가한 반면, 이명박 정부 시기에는 큰 변화가 없었습니다16.
특히 노무현 정부 시기에는 GDP 대비 사회보장지출 비율이 2003년 5.1%에서 2007년 7.1%로 약 2.0%p 증가하며, 재정을 통한 소득 재분배 노력이 두드러졌습니다16.
소득 재분배와 재정 건전성 사이의 균형
소득 재분배를 강화하기 위한 복지 지출의 증가는 재정 부담으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이는 '복지 정책이 정부 부채의 원인'이라는 주장의 근거가 되기도 합니다. 그러나 다른 한편에서는 부자 감세 정책이 세수 감소를 가져와 재정 건전성을 악화시키는 주요 원인이라는 반박도 있습니다17.
이처럼 소득 재분배와 재정 건전성 사이에서 적절한 균형을 찾는 것은 재정정책의 중요한 과제입니다. 효율적인 세제 개편과 복지 지출의 효과성 제고를 통해 두 목표를 동시에 달성하려는 노력이 필요합니다.
한국의 재정정책 변천사
한국의 재정정책은 각 정부의 경제 철학과 당시 경제 상황에 따라 다양한 모습을 보여왔습니다. 과거 정부의 재정정책을 살펴보면 일정한 패턴과 특징을 발견할 수 있습니다.
노무현 정부 (2003-2008)
노무현 정부는 집권 초기 카드대란 등 경제 위기에 대응하기 위해 확장적 재정정책을 펼쳤습니다. 2003년에는 7.5조 원 규모의 추가경정예산을 편성하여 경기 부양에 나섰습니다16.
또한 사회보장지출을 크게 늘려 GDP 대비 사회보장지출 비율이 5.1%에서 7.1%로 증가했습니다. 이를 통해 재정의 소득 재분배 효과가 크게 향상되었습니다16.
그러나 집권 후반기에는 재정 건전성을 고려하여 긴축적 재정정책으로 선회했으며, 집권 5년차인 2007년에는 재정충격지수가 -2.6%를 기록하며 강한 긴축 기조를 보였습니다16.
이명박 정부 (2008-2013)
이명박 정부는 글로벌 금융위기에 대응하기 위해 집권 초기 매우 확장적인 재정정책을 펼쳤습니다. 2008년에는 4.6조 원 규모의 추가경정예산을 편성했으며, 당시의 재정충격지수는 양(+)의 값을 기록했습니다16.
그러나 집권 후반기에는 노무현 정부와 마찬가지로 긴축적 재정정책으로 전환하여 집권 4년차와 5년차에는 각각 -0.1%, -0.3%의 재정충격지수를 기록했습니다16.
재정의 소득 재분배 효과 면에서는 이명박 정부 시기에 큰 변화가 없었던 것으로 평가됩니다16.
박근혜 정부 (2013-2017)
박근혜 정부도 집권 초기에는 확장적 재정정책을 펼쳐 2013년에 17.3조 원이라는 대규모 추가경정예산을 편성했습니다. 그러나 균형재정을 강조했기 때문에 이전 정부들에 비해 확장의 폭은 상대적으로 작았습니다16.
집권 후반기에는 이전 정부들과 마찬가지로 긴축적 재정정책으로 선회하여 집권 4년차에는 재정충격지수가 -1.0%를 기록했습니다16.
재정의 소득 재분배 효과는 노무현 정부와 마찬가지로 박근혜 정부 시기에도 크게 증가했습니다16.
문재인 정부 (2017-2022)
문재인 정부는 복지 정책 강화와 코로나19 대응을 위한 확장적 재정정책을 실시했습니다. 이로 인해 국가채무가 2017년 660조 원에서 2022년 약 1070조 원 수준으로 증가했습니다17.
그러나 국가채무 증가의 원인에 대해서는 논쟁이 있습니다. 일부에서는 문재인 정부의 복지 정책이 국가채무 증가의 주요 원인이라고 주장하는 반면, 다른 한편에서는 코로나19라는 전례 없는 위기에 대응하기 위한 불가피한 선택이었으며, 한국은 다른 나라에 비해 지원도 더 적게 시행했다는 반론도 있습니다17.
윤석열 정부 (2022-)
윤석열 정부는 효율적 조세지출 운영, 엄격한 조세지출 관리, 조세지출 성과관리 내실화를 기본 방향으로 하는 2025년 조세지출 기본계획을 수립했습니다3.
그러나 세수 부족에 따른 '세수펑크' 현상이 발생하고 있으며, 특히 법인세와 양도소득세의 감소가 전체 세수 감소의 80%를 차지하고 있습니다17. 이로 인해 정부의 감세 정책이 재정 건전성 악화의 원인이라는 비판이 제기되고 있습니다.
세계 각국의 재정정책 사례
세계 각국은 각자의 경제 상황과 정책 목표에 따라 다양한 재정정책을 실시해왔습니다. 특히 경제 위기 시기에 각국이 어떤 재정정책으로 대응했는지를 살펴보는 것은 재정정책의 효과를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미국의 뉴딜 정책
대공황 시기인 1933년 미국의 뉴딜 정책은 정부가 적극적으로 지출을 확대하여 경제적 난관을 극복한 대표적인 사례입니다. 케인스의 경제 이론에 기반한 이 정책은 정부의 적극적 역할을 통해 경제를 회복시켰습니다5.
뉴딜 정책은 공공사업을 통한 일자리 창출, 사회보장제도 도입, 금융 규제 강화 등 다양한 프로그램을 포함했으며, 이는 이후 미국 경제 정책의 기반이 되었습니다.
코로나19 시기의 세계 각국 대응
코로나19 팬데믹은 전 세계 각국의 재정정책에 큰 변화를 가져왔습니다. 대부분의 국가들은 전례 없는 규모의 재정 지출을 통해 경제 위기에 대응했습니다.
14개국의 재정지출 효과를 분석한 연구에 따르면, 코로나19 시기에 대부분의 국가에서 순조세(이전지출)의 추가적인 경기부양 효과가 나타났습니다. 반면, 정부소비에서는 뚜렷한 경기부양 효과가 나타나지 않았습니다. 이는 재난지원금 같은 이전지출이 경기 회복에 더 효과적이었음을 시사합니다19.
또한 대면 경제활동을 제한하는 봉쇄 형태의 방역정책이 실시되는 경우 재정지출의 승수 효과가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이는 방역 정책이 강화될 때 재정정책의 효과가 제한될 수 있음을 보여줍니다19.
영국의 부자 증세 정책
최근 경기 침체에 대응하는 방식에서도 각국은 서로 다른 접근법을 보이고 있습니다. 영국의 경우, 리시 수낵 총리는 경기 침체와 재정 적자에 대응하기 위해 부자 증세를 단행했습니다17.
이는 감세를 통한 경기 부양보다는 재정 건전성 확보와 소득 재분배를 중시하는 정책 기조를 보여주는 사례입니다. 영국의 사례는 재정정책이 단순한 경제적 판단을 넘어 정치적, 사회적 가치판단과도 깊이 연관되어 있음을 보여줍니다.
재정정책의 미래 과제와 방향
현대 경제에서 재정정책은 점점 더 복잡한 과제에 직면하고 있습니다. 고령화, 불평등 심화, 기후 변화, 디지털 전환 등의 구조적 변화는 재정정책에 새로운 도전과 기회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재정 건전성과 경제 성장의 균형
재정정책의 가장 큰 과제 중 하나는 재정 건전성과 경제 성장 사이의 균형을 찾는 것입니다. 코로나19로 인해 급증한 국가 부채는 앞으로 정상화될 필요가 있지만, 너무 급격한 재정 긴축은 경제 회복을 지연시킬 수 있습니다19.
한국의 경우 고령화 사회 진입에 따른 복지지출 부담 확대, 미래 예상되는 대규모 통일비용, 외부 경제충격에 따른 세수 급감 가능성 등 미래 재정 위험 요인이 상존하고 있어 재정 건전성 유지가 중요합니다16. 그러나 동시에 불평등 심화와 경제 성장 둔화에 대응하기 위한 적극적인 재정 정책도 필요합니다.
재정정책의 효과성 제고
재정정책의 효과는 국가별, 정책 수단별로 다르게 나타납니다19. 따라서 효율적인 재정 집행을 위해서는 국가의 특성과 정책 수단에 대한 신중한 고려가 필요합니다.
특히 조세지출(세제혜택)의 경우, 정책 목적 달성에 실질적 지원이 되도록 효과성을 높이는 것이 중요합니다. 이를 위해 한국 정부는 일몰 도래 제도 등 총 27개의 조세특례에 대해 심층평가를 실시하여 일몰 여부 검토와 개선방안을 마련한다는 계획을 세우고 있습니다3.
디지털 전환과 녹색 전환 지원
미래 성장 동력을 확보하기 위해 각국은 디지털 전환과 녹색 전환을 위한 물적·인적 인프라 투자에 집중하고 있습니다. 주요국의 중장기적 대응은 10년에 이르는 거대 규모의 장기 투자 계획 형태로 나타나고 있습니다19.
그러나 이러한 대규모 투자는 재정 건전성에 대한 우려를 낳기도 합니다. 따라서 투자의 효율성을 높이고 민간 투자를 촉진하는 방향으로 재정정책을 설계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결론
재정정책은 정부가 경제 활동을 관리하고 사회경제적 목표를 달성하는 핵심 도구입니다. 세금과 정부 지출이라는 두 가지 주요 수단을 통해 정부는 경제 성장, 경기 안정화, 소득 재분배 등의 목표를 추구합니다.
한국을 포함한 세계 각국의 사례는 재정정책이 경제 위기 대응과 구조적 문제 해결에 중요한 역할을 함을 보여줍니다. 대공황 시기의 뉴딜 정책, 글로벌 금융위기와 코로나19 팬데믹에 대응한 확장적 재정정책 등은 위기 상황에서 정부의 적극적인 역할이 얼마나 중요한지를 보여줍니다.
그러나 재정정책은 항상 트레이드오프와 딜레마에 직면합니다. 확장적 재정정책은 단기적으로 경제를 활성화할 수 있지만, 장기적으로는 재정 건전성을 약화시킬 수 있습니다. 반대로 긴축적 재정정책은 재정 건전성을 높이지만 경제 성장을 저해할 수 있습니다.
또한 재정정책의 효과는 국가별, 정책 수단별로 다르게 나타나므로, 효율적인 재정 집행을 위해서는 국가의 특성과 정책 수단에 대한 신중한 고려가 필요합니다.
미래의 재정정책은 고령화, 불평등 심화, 기후 변화, 디지털 전환 등 새로운 과제에 대응해야 합니다. 이를 위해서는 재정 건전성과 경제 성장의 균형을 유지하고, 재정정책의 효과성을 높이며, 미래 성장 동력을 확보하기 위한 투자를 확대하는 노력이 필요합니다.
결국 재정정책의 성공은 단기적 대응과 장기적 비전의 조화, 경제적 효율성과 사회적 형평성의 균형, 그리고 국가와 시장의 적절한 역할 분담에 달려 있습니다. 이러한 균형을 찾아가는 과정에서 정부, 기업, 시민사회의 지혜와 협력이 그 어느 때보다 중요합니다.
Citations:
- https://blog.toss.im/article/what-is-fiscall-policy
- https://www.semanticscholar.org/paper/8dfb3888fe79bd461da13899e6ff75d7b016d191
- https://www.intn.co.kr/news/articleView.html?idxno=2042484
- https://www.semanticscholar.org/paper/b1b7bc9cdc07ab7ec100bcc68bbe6c398b2ec239
- https://sgsg.hankyung.com/article/2023101362621
- https://www.semanticscholar.org/paper/1fd9791890525e7cf21f4006643c4d7513343ad5
- https://www.semanticscholar.org/paper/5330119b5deeca887827eb0d53421180910c51c6
- https://www.hani.co.kr/arti/economy/economy_general/1110278.html
- https://www.semanticscholar.org/paper/ab97c59bc4b79e79e5d5bf7066845e06ac4252de
- https://www.semanticscholar.org/paper/4398b896a1eca686a81631089adfe730e546b37f
- https://www.semanticscholar.org/paper/3dd96acff6bf8de1a529e9e1ccc90b93a6804c3b
- https://www.semanticscholar.org/paper/6d64c3ea4cd57046d4b69644253334a4d4fddcc0
- https://www.semanticscholar.org/paper/8c73f1e502834442cab22ff80d1f1899b6c1ff5c
- https://www.fis.kr/egf/bp/board/article/download?fileSeq=141
- https://www.semanticscholar.org/paper/bec77383ae365c5526dfc011faee6dd5d363fad3
- https://www.hri.co.kr/upload/board/2017623161832%5B1%5D.pdf
- https://www.reddit.com/r/Mogong/comments/1ch93js/%EB%B0%98%EB%B0%95_%EB%AC%B8%EC%9E%AC%EC%9D%B8_%EC%A0%95%EB%B6%80%EC%9D%98_%EB%B3%B5%EC%A7%80%EC%A0%95%EC%B1%85%EC%9D%B4_%EC%A0%95%EB%B6%80%EB%B6%80%EC%B1%84%EC%9D%98_%EC%9B%90%EC%9D%B8%EC%9D%B4%EB%9D%BC%EA%B3%A0%EC%9A%94/
- https://sgsg.hankyung.com/article/2024061459221
- https://www.kiep.go.kr/gallery.es?mid=a10101020000&bid=0001&list_no=10488&act=view
- https://eiec.kdi.re.kr/material/conceptList.do?depth01=00002000010000100010&idx=150
- https://www.bok.or.kr/portal/bbs/B0000216/view.do?nttId=165618&menuNo=200646&listType=G&pageIndex=1
- https://www.kipf.re.kr/cmm/fms/FileDown.do?atchFileId=FILE_000000000011264&fileSn=0
- https://www.nabo.go.kr/system/common/JSPservlet/download.jsp?fCode=10791&fSHC=&fName=%EC%A0%95%EB%B6%80%EC%9D%98+%EC%9E%AC%EC%A0%95%EC%A7%80%EC%B6%9C%EC%97%90+%EB%94%B0%EB%A5%B8+%EA%B5%AD%EB%AF%BC+%EA%B2%BD%EC%A0%9C%EC%A0%81+%ED%8C%8C%EA%B8%89%ED%9A%A8%EA%B3%BC+%EB%B6%84%EC%84%9D.pdf&fMime=application%2Fpdf&fBid=19&flag=bluen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