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 사회에서 다양한 경제 체제가 어떻게 작동하고 있는지, 각 체제의 특성과 차이점은 무엇인지에 대한 이해는 빠르게 변화하는 세계 경제를 분석하는 데 필수적입니다. 본 보고서에서는 자본주의, 사회주의, 혼합 경제 체제의 개념적 특성과 실제 적용 사례를 살펴보고, 특히 한국이 발전시켜온 독특한 자본주의 모델을 분석합니다. 경제 체제는 단순히 이론적 모델이 아니라 각 사회의 역사적, 문화적, 정치적 맥락 속에서 형성된 복합적 시스템이며, 이를 통해 희소한 자원이 어떻게 배분되고 사회 구성원들의 필요와 욕구를 충족시키는지를 결정합니다.
경제 체제의 기본 개념과 유형
경제 체제란 기본적인 경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희소한 자원의 배분을 결정하고 조직하는 제도나 방식을 의미합니다. 각 사회는 '무엇을, 어떻게, 누구를 위해 생산할 것인가'라는 기본적인 경제 질문에 답하기 위한 고유한 방식을 발전시켜 왔습니다20.
전통 경제 체제
전통 경제 체제는 가장 오래된 형태의 경제 체제로, 전통과 관습에 의해 경제 문제를 해결하는 방식입니다. 19세기 북극해 연안의 이누이트족은 자식들에게 사냥법과 추위를 극복하는 방법을 대대로 전수했으며, 사냥으로 얻은 물품을 공동체 내에서 나누는 방식을 취했습니다20.
전통 경제 체제의 가장 큰 특징은 경제 활동의 변화가 거의 없고 전통의 연속성과 안정성을 중시한다는 점입니다. 이 체제의 장점은 모든 구성원이 미래 상황을 예측할 수 있어 안정적인 삶을 영위할 수 있다는 것이지만, 외부 변화에 신속히 대처하는 능력이 부족하고 개인의 자발적 선택이 제한된다는 단점이 있습니다20.
계획 경제 체제(사회주의)
계획 경제 체제는 중앙 정부의 계획과 명령에 의해 모든 경제 활동이 이루어지는 체제입니다. 구소련과 북한 등이 대표적인 사례로, 이 체제에서는 국가의 명령에 따라 경제 문제를 해결하고, 생산 수단을 국유화하며, 개별 경제 주체의 자유를 제한하는 특징이 있습니다20.
계획 경제 체제의 장점은 부와 소득의 불평등을 완화하고, 중앙 계획 당국의 결정으로 사회가 채택한 주요 목적을 신속히 달성할 수 있다는 점입니다. 그러나 경제적 유인 부족으로 창의성과 활력이 저하되고, 정부의 잘못된 결정이 경제 발전을 저해할 수 있다는 단점이 있습니다20.
시장 경제 체제(자본주의)
시장 경제 체제는 경제 주체의 자유로운 선택에 의해 경제 문제를 해결하는 방식으로, 미국, 싱가포르 등이 대표적인 사례입니다. 이 체제는 개별 경제 주체의 자유로운 선택과 경쟁에 의한 자원 배분, 사유 재산권과 이윤 추구 활동의 보장, 국가 간섭의 최소화를 특징으로 합니다20.
시장 경제 체제의 가장 큰 장점은 각 개인이 이익을 추구하는 과정에서 자원이 효율적으로 활용된다는 점입니다. 그러나 불평등이 심화될 수 있고, 공공재 공급이 부족해질 수 있다는 단점이 있습니다.
혼합 경제 체제
현실에서는 순수한 자본주의나 사회주의보다는 두 체제의 특성을 혼합한 경제 체제가 더 일반적입니다. 북유럽 및 중부 유럽, 캐나다 등이 대표적인 혼합 경제 체제 국가들로, 자본주의적 기반 위에 사회주의적 요소를 가미하여 운영됩니다13.
혼합 경제 체제는 시장의 자율성을 인정하면서도 정부의 개입을 통해 시장 실패를 교정하고, 부의 집중과 같은 자본주의의 구조적 문제를 완화하기 위해 자본가들에게 더 많은 의무와 징세를 부과하는 수정 자본주의의 형태로 나타납니다13.
자본주의 체제의 심층 분석
자본주의의 원칙과 이념적 배경
자본주의는 개인의 재산권 보장과 자유로운 경제활동을 기반으로 하는 경제 체제입니다. 한국 헌법도 "모든 국민의 재산권은 보장된다"라고 명시하여 시장 경제 체제를 기본으로 하고, 개인과 기업의 자유로운 경제 활동을 존중하며, 그로써 얻은 이득과 재산을 모두 보장한다는 원칙을 담고 있습니다5.
자본주의의 핵심 가치는 자유로운 경쟁과 이를 통한 효율성 증진에 있습니다. 애덤 스미스의 '보이지 않는 손'으로 상징되는 이 체제는 각 개인이 자신의 이익을 추구함으로써 사회 전체의 효율이 증진된다는 믿음에 기반합니다. 그러나 현실에서는 자본주의가 무제한으로 보장되지는 않으며, 자본의 지나친 남용으로 타인에게 피해를 주는 경우 이를 조정할 수 있는 최소한의 장치가 필요합니다5.
세계 각국의 자본주의 적용 사례
미국은 자본주의의 대표적인 국가로, 개인의 자유와 기업가 정신을 강조하며 정부 개입을 최소화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그러나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는 지난 30년간의 신자유주의식 자본주의 모델의 한계를 드러냈으며, 이후 시장 친화적 개입주의와 같은 대안적 접근이 모색되고 있습니다17.
싱가포르는 자유 시장 경제를 채택하면서도 강력한 정부 주도의 경제 발전 전략을 추진한 사례입니다. 정부가 주요 산업 분야에 전략적으로 투자하고 방향을 제시하는 한편, 민간 기업의 자율성도 보장하는 독특한 모델을 발전시켰습니다.
영국은 전통적인 자본주의 국가로 시작했으나, 시간이 지남에 따라 복지 제도를 강화하고 정부 역할을 확대하는 방향으로 발전했습니다. 특히 대처 시대에는 신자유주의적 정책을 강화했다가, 이후 다시 균형적인 접근으로 선회하는 변화를 보였습니다.
자본주의의 성과와 한계
자본주의는 기술 혁신과 경제 성장을 촉진하는 데 크게 기여했습니다. 자유로운 경쟁과 이윤 추구 동기가 기업들로 하여금 끊임없이 혁신하고 효율성을 높이도록 자극했기 때문입니다. 그러나 이와 동시에 소득 불균형, 양극화, 환경 파괴 등의 문제도 야기했습니다.
현대 자본주의는 끊임없는 위기 속에서도 축적을 지속하는 '현란한 기술'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미국 사람들이 제때 갚지 못하는 주택 대출금이 왜 한국 경제를 위기에 몰아넣고, 멀쩡한 한국인이 직장을 잃거나 압류를 당해야 하는지, 대자본의 쇼핑센터를 짓기 위해 멀쩡한 집을 강제로 허무는 일이 왜 공공 이익이 되어야 하는지 등 자본주의의 모순적 측면이 우리 사회에 여러 문제를 초래하고 있습니다8.
이러한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해 자본주의 내에서도 다양한 변형과 개혁이 시도되고 있으며, 이는 혼합 경제 체제로의 발전으로 이어지고 있습니다.
사회주의 체제의 역사와 변천
사회주의의 이론적 배경
사회주의는 마르크스, 엥겔스 등의 사상가들에 의해 발전된 이론으로, 자본주의의 대안으로 제시되었습니다. 생산수단의 사회적 소유, 계획경제, 계급 없는 사회를 지향하는 이 이론은 19세기 산업혁명 이후 심화된 노동자 계급의 빈곤과 자본가 계급의 착취에 대한 비판에서 출발했습니다.
사회주의의 큰 맥락은 "부의 공평한 분배"입니다. 마르크스가 유명하지만 사실은 그보다 훨씬 이전부터 부의 공평한 분배에 대한 이야기는 있어왔습니다13.
실제 사회주의 적용 국가들의 성과와 한계
구소련은 20세기 초 세계 최초의 사회주의 국가로 출범하여 계획경제를 통해 급속한 산업화를 이룩했습니다. 그러나 경제적 비효율성, 관료주의, 정치적 억압 등의 문제로 결국 1991년 붕괴했습니다.
북한은 사회주의 체제를 유지하고 있는 국가 중 하나로, 주체사상에 기반한 독특한 경제 모델을 추구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경제적 어려움과 국제적 고립으로 인해 주민들의 생활 수준은 매우 낮은 상태입니다.
중국은 1978년 개혁개방 정책 이후 '중국 특색의 사회주의 시장경제'라는 독특한 모델을 발전시켰습니다. 국가의 통제를 유지하면서도 시장 메커니즘을 적극 활용하여 급속한 경제 성장을 이룩했으나, 불평등이 심화되고 환경 문제가 불거지는 등 자본주의적 문제점들도 나타나고 있습니다.
사회주의에 대한 오해와 진실
사회주의는 종종 공산주의와 혼동되거나 잘못 이해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사회주의와 공산주의를 구분하지 못하는 인간들이 많은데, 현대 사회/경제는 한두 가지 이론으로 설명할 수 없을 정도로 복잡해졌습니다. 그런데 아직 이념 논쟁에 사로잡혀 있는 사람들은 두 가지 이론만 머릿속에 있다 보니 한 발짝도 벗어나지 못하는 경우가 많습니다13.
자본주의의 구조적 문제인 부의 집중을 완화하기 위해 자본가들에게 더 많은 의무와 징세를 하는 수정 자본주의가 생겨났는데, 한국에서는 이를 종종 '빨갱이 정책'이라고 부르는 오해가 있습니다. 그러나 이러한 징세와 복지정책들은 오히려 공산화를 막는 버팀목 역할을 합니다13.
혼합 경제 체제: 자본주의와 사회주의의 융합
혼합 경제 체제의 등장 배경
순수한 자본주의나 사회주의는 현실에서 그대로 적용되기 어려운 이상적 모델입니다. 자본주의의 불평등과 시장 실패, 사회주의의 비효율성과 자유의 제한 등 각 체제의 한계를 보완하기 위해 혼합 경제 체제가 등장했습니다.
전 세계적으로 제2차 세계대전 이후 국가마다 형태는 다르지만 시장 경제를 기반으로 하되 정부의 역할을 인정하는 혼합 경제 체제가 확산되었습니다. 이는 경제적 효율성과 사회적 정의라는 두 가치를 조화시키려는 노력의 결과입니다.
북유럽 모델과 유럽 사회민주주의
북유럽 국가들은 혼합 경제 체제의 대표적인 사례로, 높은 세금을 통한 보편적 복지 제도와 자유로운 시장 경제를 결합한 모델을 발전시켰습니다. 이들 국가는 소득 불평등이 낮으면서도 높은 생활 수준과 경제 경쟁력을 유지하고 있습니다.
핀란드의 경우 급여의 약 40%가량을 세금으로 내는데, 이를 복지 국가라고 부르는 이유는 그 복지가 그냥 땅에서 나오는 것이 아니라 국민들이 낸 세금으로 만들어지기 때문입니다. 내가 낸 세금은 언젠가 나에게 돌아올 것이라는 사회적인 약속과 국가에 대한 굳은 믿음이 이런 시스템을 가능하게 만들었습니다13.
한국형 혼합 경제의 가능성
한국은 빠른 경제 성장을 이루었지만, 양극화와 불평등 문제가 심화되고 있습니다. 현재 한국 사회는 자본주의화 되어가면서 부의 쏠림 현상이 심화되고 있으며, 이는 중간층의 축소로 이어지고 있습니다13.
한국처럼 대기업 중심의 산업기반을 가진 경제는 이러한 부의 집중 현상이 더욱 심화될 수 있습니다. 중소기업을 살려야 부의 분배가 더 효과적인데, 대기업 중심이면 돈이 몰리는 곳으로만 몰리게 되어 슈퍼리치(Super Rich)가 등장하게 됩니다13.
한국형 혼합 경제의 발전을 위해서는 정부의 적절한 개입과 함께 공정한 시장 환경 조성, 복지 제도의 확충, 대기업과 중소기업 간의 상생 관계 구축 등이 필요합니다. 이를 통해 경제 성장과 함께 분배의 정의를 실현할 수 있는 균형적인 경제 시스템을 구축할 수 있을 것입니다.
한국 자본주의의 특수성과 발전 과정
'한강의 기적': 한국 경제 성장의 역사
한국은 세계에 유례가 없을 정도로 빠르게 경제 성장을 이룩했습니다. 자본과 자원이 거의 없는 여건에서, 더구나 1950년부터 1953년까지 3년간의 전쟁으로 산업시설이 거의 폐허가 된 상태에서 이룩한 경제 성장을 세계는 '한강의 기적'이라고 부릅니다5.
한국은 1960년대부터 수출주도형 경제 발전 계획을 세워 추진했습니다. 처음에는 원자재나 소규모 공장에서 생산한 경공업제품을 주로 수출하다가, 1970년대부터 중화학공업시설 투자를 통한 경제 발전을 추진해 중공업제품 수출의 발판을 마련했습니다. 현재는 반도체 및 디스플레이 분야에서 세계적인 경쟁력을 보유하고 있습니다5.
수출 실적은 1960년 3,282만 달러에서 1977년 100억 달러를 돌파했으며, 2019년에는 5,422억 달러로 비약적으로 증가했습니다. 정부수립 무렵인 1953년 1인당 국민소득이 67달러에 불과했으나 2019년에는 32,115달러로 크게 증가했습니다5.
'한국적 자본주의'의 특징과 한계
한국은 자본과 자원이 부족한 가운데 집중적인 성장을 추구하는 과정에서 대기업 중심의 수출 주도형 경제 구조를 발전시켰습니다. 이로 인해 대기업 집단(재벌)이 형성되었고, 수출과 수입에 크게 의존하는 대외 경제에 민감한 경제 구조를 갖게 되었습니다5.
'한국적 자본주의'라는 말은 마치 우리 사회에 알맞은 자본주의를 도입했다는 뉘앙스가 풍기지만, '한국적 민주주의'가 민주주의와 거리가 멀었듯이 한국적 자본주의는 진정한 자본주의와 거리가 있다는 비판도 있습니다4.
우리 사회의 주요 문제로 지적되는 비정규직 문제, 엄청난 자산·소득격차, 청년실업 문제, 세습경영, 위험 수위의 가계부채 문제 등은 자본주의 때문이 아니라 제대로 자본주의를 실천하지 않기 때문에 발생한 것이라는 주장도 있습니다4.
재벌 중심 경제와 그 영향
한국자본주의의 두 번째 특징은 재벌체제입니다. '대규모 기업집단'으로서의 재벌체제는 대규모 기업집단이라는 독점자본 등장 이래의 보편적 특징에 더하여 한국에만 고유한 특성입니다9.
10% 안 되는 회장 집안이 그룹의 경영권을 장악하는 것이 상식인 나라가 과연 정상인지, 평균 이하의 지적 수준을 보여주는 재벌 3, 4세가 세습하는 대기업의 경영이 합리적인지에 대한 의문이 제기되고 있습니다4.
현재의 '박근혜-최순실 사태'가 극명하게 보여주듯 정경유착은 더욱 공고하게 유지되고 있습니다. 다만 70, 80년대의 정경유착이 정치권력이 주도했다면 지금은 삼성이 보여주듯 자본이 정치권력을 주도하고 있는 점만 달라졌다는 분석도 있습니다4.
1997년 외환위기와 한국 경제의 변화
1997년 11월 한국은 국제통화기금(IMF)에 금융지원을 신청하는 외환 위기를 맞았습니다. 고도 경제 성장 후에 처음 닥친 시련이었습니다5.
한국은 과감하게 부실 기업을 퇴출하고 구조조정을 시행해 2년 만에 성장률과 물가를 정상으로 돌리고, 경상수지 흑자를 이룩했습니다. 이 과정에서 IMF로부터 빌린 외환을 갚기 위해 국민 350만 명이 집에 보관하던 227t의 금을 모았습니다. 국민이 자발적으로 외채 갚기에 나선 일은 세계의 주목을 받았고, 국제사회에 큰 감명을 주었습니다5.
3년 만에 외환 위기를 완전히 극복하는 동안 한국은 국제화된 경제·금융제도를 도입하는 부수 효과를 얻기도 했습니다. 한편, 구조조정 과정에서 정부의 재정 지출이 확대되고, 소득 불균형이 심화되는 부작용도 나타났습니다5.
미래 경제 체제의 도전과 과제
디지털 전환과 경제 체제의 변화
4차 산업혁명과 디지털 전환은 경제 체제의 근본적인 변화를 가져오고 있습니다. 인공지능, 빅데이터, 사물인터넷 등의 기술 발전은 생산 방식, 노동 시장, 소비 패턴 등 경제 전반에 혁신적 변화를 초래하고 있습니다.
인공지능 시대에 들어서면서 체제 변화로 인한 많은 이들의 고통이 예고되고 있습니다18. 기술 발전에 따른 일자리 감소, 디지털 격차 심화 등의 문제는 현재의 경제 체제가 해결해야 할 새로운 과제입니다.
지속가능한 발전을 위한 경제 체제 혁신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의 근저에는 지난 30년간의 지배적 사조인 신자유주의식 자본주의 모델의 한계도 크게 작용했습니다. 이제 사조의 전환이 요구되는데, 그동안의 시행착오를 감안하면 지속가능한 다른 해법으로 시장 친화적 개입주의를 시도해볼 만합니다17.
지속가능한 자본주의로의 전환을 위한 해법으로는 정부 개입을 강화하되, 정부 실패 예방을 위해 강한 민간 경제주체들이 공생적 태도를 취하여 정부 개입의 필요성 및 부작용을 최소화하는 접근이 제시되고 있습니다17.
양극화 해소와 공동체 자본주의
한국 사회에서 양극화는 심각한 문제로, 60:40의 부의 분배가 현재는 거의 85:15 수준에 이르러 중간층이 사라지고 빈곤과 부유의 대립이 심화되고 있습니다13.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공동체 자본주의'나 '정의로운 자본주의'와 같은 새로운 경제 모델이 제안되고 있습니다. 이는 자본주의의 효율성을 유지하면서도 공동체 의식에 기반한 상생과 공존의 가치를 강조하는 접근입니다.
박정희의 계획경제체제 유산이 남아 있는 한국적 현실에서 평등의 민주주의와 불평등의 자본주의가 조화를 이루는 세상, 바로 함께 잘사는 정의로운 자본주의의 시대로 가는 길은 '민주주의가 제대로 작동하는 것'에 달려 있습니다19.
지방 소멸과 경제 구조의 재편
한국의 지방 소멸 문제는 자본주의 시장경제의 특성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대도시 집중 현상은 겪지 않는 나라를 찾기 어려울 정도로 모든 곳에서 일어나는 일입니다15.
최근 뉴스에서는 강원도 지역의 버스터미널 폐쇄와 시외버스 노선이 70% 이상 감소하면서 주민들이 대책 마련을 요구하고 있는 상황이 보도되었습니다15. 특히 병원 진료 등을 위해 인근 도시를 방문해야 하는 교통약자들이 큰 불편을 겪고 있습니다.
이러한 지방 소멸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재택근무의 일반화, 자율주행 대중교통 확대, 지방 산업 육성 등 다양한 방안이 논의되고 있지만, 근본적인 해결책으로는 농업에서 다른 산업으로의 전환이 필요할 것입니다. 좋은 기획과 자본 투입, 교육 등이 종합적으로 이루어져야 합니다15.
결론: 상생과 지속가능한 경제 체제를 향하여
지금까지 다양한 경제 체제의 특성과 역사, 각국의 적용 사례 및 한국의 독특한 자본주의 모델에 대해 살펴보았습니다. 모든 경제 체제는 각기 장단점을 가지고 있으며, 완벽한 경제 체제는 존재하지 않습니다.
자본주의는 혁신과 경제 성장을 촉진했지만 불평등과 환경 문제를 야기했고, 사회주의는 평등과 사회 안전망을 강조했지만 경제적 효율성과 자유의 제한이라는 문제점을 보였습니다. 현실에서는 두 체제의 특성을 혼합한 혼합 경제 체제가 각국의 역사적, 문화적 맥락에 맞게 발전하고 있습니다.
한국 경제는 빠른 성장을 이루었지만 재벌 중심 구조, 양극화, 지방 소멸 등의 문제에 직면해 있습니다. 이러한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자본주의의 효율성을 유지하면서도 공동체 의식에 기반한 상생과 공존의 가치를 강조하는 새로운 경제 모델이 필요합니다.
자본주의든 사회주의든 종국에 추구하는 바는 대부분의 사람들이 잘 사는 사회, 즉 유토피아였는데, 사실 인간의 욕심 및 권력 때문에 순수한 개념의 이념은 적용된 적이 없는 듯합니다13. 우리에게 필요한 것은 이념적 논쟁을 넘어, 실질적으로 모든 사회 구성원이 함께 번영할 수 있는 지속가능한 경제 체제를 구축하는 것입니다.
한국 경제의 위기를 넘어서기 위해서는 자본주의와 신자유주의적 정책을 제대로 실천해보지도 못한 한국의 경제 성장 과정을 이해하고, 한국 경제의 특수성에 맞는 해결책을 모색해야 합니다. 자본주의 고쳐 쓰기를 통한 '함께 잘사는 정의로운 자본주의'로 가기 위해서는 불평등의 자본주의가 정의로워질 수 있도록 평등의 민주주의가 제대로 작동해야 한다는 점을 기억해야 할 것입니다19.
Citations:
- https://www.semanticscholar.org/paper/dda0e250dacc1e5c7e0ebf58e8084ebe4f7e407a
- https://www.reddit.com/user/nb2sy/submitted/
- https://www.semanticscholar.org/paper/4ac392f97ea6107c2abc3b4bde4c4161af2310ee
- https://www.usline.kr/news/articleView.html?idxno=8616
- https://kccuk.org.uk/ko/about-korea/economy/the-korean-economy-the-miracle-on-the-hangang-river/
- https://www.semanticscholar.org/paper/89043eae0dd7a1d295d9afcfdd231e1eb3d42b6c
- https://www.semanticscholar.org/paper/21536b878313e7ecb3bc24423172da9a94d20fd3
- https://www.pressian.com/pages/articles/123358
- https://s-space.snu.ac.kr/bitstream/10371/94522/1/10%20%EB%B0%95%EC%8A%B9%ED%98%B8.pdf
- https://www.semanticscholar.org/paper/b2c8003e0e82bd73a5e7cbacedfb331091aa7150
- https://www.semanticscholar.org/paper/0b5493d4fb1dff6907fce52cbbcf8a95a975e5c4
- https://www.semanticscholar.org/paper/dcfe45eee2256bd1033fccae64fbd060d957d0d7
- https://www.reddit.com/r/Mogong/comments/1do3bps/%EA%B7%B8%EB%86%88%EC%9D%98_%EA%B3%B5%EC%82%B0%EC%A3%BC%EC%9D%98_%ED%83%80%EB%A0%B9/
- https://www.semanticscholar.org/paper/8dfb3888fe79bd461da13899e6ff75d7b016d191
- https://www.reddit.com/r/Mogong/comments/1cr5vut/%EC%A7%80%EC%86%8D%EB%B6%88%EA%B0%80%EB%8A%A5%EC%9D%98_%ED%95%9C%EA%B5%AD_%EC%82%AC%EB%9D%BC%EC%A7%80%EB%8A%94_%ED%84%B0%EB%AF%B8%EB%84%90%EB%93%A4_%EB%B2%84%EB%A6%BC_%EB%B0%9B%EB%8A%94_%EC%A3%BC%EB%AF%BC%EB%93%A4/
- https://www.semanticscholar.org/paper/09e3e65a84a0e556b0c7e7c51ce786b28df2947b
- http://www.klca.or.kr/KLCADownload/eBook/A626.pdf
- https://www.reddit.com/r/Mogong/comments/1jgyec4/%EC%9D%B4%EC%9E%AC%EB%AA%85%EC%9D%98_%EA%B3%B5%EB%A6%AC%EC%A3%BC%EC%9D%98_vs_%ED%8A%B8%EB%9F%BC%ED%94%84%EC%9D%98_%EA%B3%B5%EB%A6%AC%EC%A3%BC%EC%9D%98/
- https://www.keei.re.kr/library/10160/contents/5980205
- https://blog.naver.com/lyg6565/220682718565
- https://www.semanticscholar.org/paper/c5851440b5ccad7e65e55f811413e14d4046a846
- https://www.semanticscholar.org/paper/da2b27148f18c7ec5e88eec83f8c7c4267b7b43a
- https://www.semanticscholar.org/paper/972cc32233b26534b214b627144bdf45371563a0
- https://www.semanticscholar.org/paper/6586fe2068f95b5ea53eba86a3fc40d97c730ecc