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소포타미아는 '문명의 요람'이라 불리는 지역으로, 티그리스강과 유프라테스강이 흐르는 이 비옥한 땅에서 인류 최초의 도시 문명이 탄생했습니다. 이 두 강은 단순히 농업을 위한 수원(水源)으로서만 기능한 것이 아니라, 고대 메소포타미아 사회의 물류와 교역 시스템의 중추적 역할을 담당했습니다. 오늘날 우리가 당연하게 여기는 물류 시스템의 기원을 이해하기 위해, 고대 메소포타미아에서 티그리스강과 유프라테스강을 통해 이루어진 수상 운송의 발전과 그 혁신적 측면을 살펴보겠습니다.
메소포타미아의 지리적 환경과 수운의 필요성
메소포타미아는 그리스어로 '두 강 사이의 땅'이라는 의미를 가지고 있으며, 이름 그대로 티그리스강과 유프라테스강 사이에 위치한 지역입니다. 이 두 강은 아나톨리아(현재의 터키) 지역에서 발원하여 페르시아만으로 흘러들어가기 전에 합류합니다. 이 지역은 비옥한 토양을 가지고 있었지만, 강수량이 적어 농업에 어려움이 있었습니다. 따라서 메소포타미아 사람들은 강물을 효과적으로 이용하기 위한 방법을 개발해야 했습니다.
메소포타미아에서 농업이 시작된 것은 약 12,000년 전으로, 수렵-채집 집단들이 점차 농경 생활로 전환하면서부터였습니다. 티그리스강과 유프라테스강은 매년 범람하며 비옥한 침전물(실트)을 육지로 가져왔고, 이는 농업에 이상적인 조건을 제공했습니다. 그러나 강수량의 변동에 따라 강물의 수위가 크게 달라져, 때로는 홍수로 인해 농작물과 가축, 주택이 유실되기도 했고, 반대로 물이 부족할 때는 작물이 말라죽기도 했습니다.
이러한 환경적 도전에 대응하기 위해 메소포타미아 사람들은 관개 시스템을 개발했습니다. 그들은 물을 저장하기 위한 대형 저수지를 파고, 운하를 건설하여 홍수로부터 주거지를 보호하고 농경지에 물을 공급했습니다. 이러한 수자원 관리 기술의 발전은 메소포타미아 문명의 성장에 핵심적인 역할을 했으며, 최근의 연구에서는 고대 도시 기르수(Girsu)에서 발견된 운하 시스템의 연대가 방사성 탄소 연대측정법을 통해 기원전 4800년에서 1600년 사이로 확인되었습니다.

고대 메소포타미아의 수상 운송 수단
칼콜리틱 시대(구리석기 시대)부터 메소포타미아 사람들은 티그리스강과 유프라테스강에서 배와 뗏목을 이용한 수상 생활을 시작했습니다. 초기에는 주로 아나톨리아와 메소포타미아 사이의 필요한 물품을 북에서 남으로 운송하는 데 이용되었습니다. 그러나 시간이 지남에 따라 수상 운송은 티그리스강과 유프라테스강에서 멀리 떨어진 메소포타미아의 도시들까지 연결되는 무역 네트워크로 발전했습니다.
메소포타미아에서 사용된 주요 수상 운송 수단으로는 마슈프(Mashoof), 이스비야(Isbiyah), 구파(Guffa), 칼라쿠(Kalaku), 코라클(Coracle), 발람스(Balams), 사피나(Safinahs) 등이 있었습니다. 이러한 다양한 형태의 배와 뗏목은 각각 특정 목적과 환경에 맞게 설계되었으며, 메소포타미아의 경제 발전에 중요한 역할을 했습니다.
특히 히트(Hit) 도시는 더 많은 화물 운송과 안전한 여행을 위한 수상 운송 수단을 지속적으로 생산하는 중요한 산업 중심지가 되었습니다. 이는 고대 메소포타미아에서 이미 전문화된 조선 산업이 발달했음을 보여주는 증거입니다.

수상 운송이 메소포타미아 경제에 미친 영향
강을 통한 운송 서비스는 메소포타미아 경제의 원동력이 되었으며, 거의 모든 것에 영향을 미치는 활동으로 발전했습니다. 수상 운송은 단순히 물품을 한 장소에서 다른 장소로 옮기는 것 이상의 의미를 가졌습니다. 그것은 도시들 간의 무역을 촉진하고, 자원의 효율적인 분배를 가능하게 했으며, 궁극적으로 메소포타미아 문명의 번영에 기여했습니다.
수상 운송의 중요성이 증가함에 따라, 도시 당국들은 이러한 운송 수단의 더 질서 있고 안전한 운영을 위해 법률과 규칙을 도입했습니다1. 이는 고대 메소포타미아에서 이미 복잡한 물류 시스템을 관리하기 위한 제도적 장치가 마련되어 있었음을 시사합니다.
또한, 수상 운송은 도시의 성장과 인구 이동에도 중요한 역할을 했습니다. 고대 도시들은 높은 사망률과 낮은 출산율로 인해 장기적으로 지속 가능하지 않았을 것이며, 지속적인 이민자의 유입 없이는 성장할 수 없었을 것입니다. 티그리스강과 유프라테스강을 통한 수상 운송은 이러한 인구 이동을 용이하게 했으며, 도시의 성장과 발전에 기여했습니다.
수입품 대체와 경제 성장의 순환
고대 메소포타미아의 경제 성장은 수입품을 현지에서 대량 생산된 대체품으로 교체하는 과정에서 발생한 자기 증폭 순환과 관련이 있습니다. 이러한 대체 과정은 전문화, 고용, 시장 규모, 무역의 증가를 촉진했으며, 이는 스미스적 성장(Smithian growth)으로 알려진 경제 발전 모델과 일치합니다.
티그리스강과 유프라테스강을 통한 수상 운송은 이러한 경제 성장 순환의 핵심 요소였습니다. 강을 통해 원자재와 완성품을 효율적으로 운송할 수 있게 됨으로써, 도시들은 더 넓은 지역과 무역할 수 있게 되었고, 이는 시장의 확대와 경제적 전문화를 촉진했습니다.
수자원 관리와 운하 시스템의 발전
메소포타미아 사람들은 단순히 자연적인 강의 흐름에 의존하는 것을 넘어, 적극적으로 수자원을 관리하고 운하 시스템을 개발했습니다. 이러한 운하 시스템은 농업용 관개뿐만 아니라 수상 운송을 위한 네트워크로도 기능했습니다.
고대 도시 기르수에서 발견된 운하 시스템에 대한 최근의 연구는 메소포타미아 사람들이 얼마나 정교한 수자원 관리 기술을 가지고 있었는지를 보여줍니다. 방사성 탄소 연대측정법과 고고학적 증거를 통해, 이 운하 시스템은 기원전 4800년에서 1600년 사이에 사용되었음이 확인되었습니다.
운하 시스템의 구축은 엄청난 노동력과 조직적인 계획을 필요로 했을 것이며, 이는 메소포타미아 사회의 복잡성과 발전 수준을 반영합니다. 또한, 이러한 대규모 공공 사업은 중앙집권적인 권위와 자원 동원 능력을 필요로 했을 것이며, 이는 메소포타미아 도시 국가의 정치적 발전과도 연관됩니다.
도시 발전과 수상 운송의 상호 관계
메소포타미아의 도시 발전과 수상 운송 시스템은 밀접한 상호 관계를 가지고 있었습니다. 도시의 성장은 더 효율적인 물류 시스템을 필요로 했고, 반대로 발전된 수상 운송 네트워크는 도시의 경제적 번영과 인구 증가를 촉진했습니다.
고대 메소포타미아 도시의 성장은 역설적인 측면이 있습니다. 현대적인 보건 및 위생 기준이 없던 시대에, 도시 거주자들은 인구 밀집과 열악한 위생 상태로 인한 전염병과 만성 질환으로 높은 사망률을 겪었습니다. 또한, 도시 내 낮은 지위의 개인들은 일찍 결혼하거나 안정적인 가정을 꾸리기 어려운 직업에 종사하는 경우가 많아 출산율이 낮았을 것입니다.
이러한 상충되는 요소들은 초기 도시들이 장기적으로 지속 가능하지 않았을 것이며, 지속적인 이민자의 유입 없이는 성장할 수 없었을 것임을 시사합니다. 티그리스강과 유프라테스강을 통한 수상 운송은 이러한 인구 이동을 용이하게 했으며, 도시의 성장과 발전에 기여했습니다.
메소포타미아 수상 운송의 기술적 혁신
메소포타미아 사람들은 다양한 유형의 배와 뗏목을 개발하여 티그리스강과 유프라테스강의 특성에 맞게 적응시켰습니다. 이러한 수상 운송 수단은 화물의 양과 안전한 여행을 위해 지속적으로 개선되었습니다.
마슈프, 이스비야, 구파, 칼라쿠, 코라클, 발람스, 사피나 등의 다양한 배와 뗏목은 각각 특정 목적과 환경에 맞게 설계되었습니다. 예를 들어, 구파(Guffa)는 원형의 바구니 모양 배로, 주로 도시 내에서 사람과 소량의 화물을 운송하는 데 사용되었을 것입니다. 반면, 더 큰 배들은 도시 간 장거리 무역에 사용되었을 것입니다.
히트 도시는 이러한 수상 운송 수단을 지속적으로 생산하는 중요한 산업 중심지가 되었으며, 이는 고대 메소포타미아에서 이미 전문화된 조선 산업이 발달했음을 보여줍니다. 이러한 산업적 전문화는 메소포타미아 경제의 복잡성과 발전 수준을 반영합니다.

법적 규제와 제도적 발전
수상 운송이 메소포타미아 경제의 중요한 부분이 됨에 따라, 도시 당국들은 이러한 운송 수단의 더 질서 있고 안전한 운영을 위해 법률과 규칙을 도입했습니다. 이는 고대 메소포타미아에서 이미 복잡한 물류 시스템을 관리하기 위한 제도적 장치가 마련되어 있었음을 시사합니다.
함무라비 법전과 같은 고대 메소포타미아의 법률 문서에는 수상 운송과 관련된 규정이 포함되어 있었을 것입니다. 이러한 규정은 운송 요금, 화물의 손상이나 분실에 대한 책임, 선박의 안전 기준 등을 다루었을 것입니다.
또한, 수상 운송과 관련된 분쟁을 해결하기 위한 법적 절차도 발전했을 것입니다. 이는 메소포타미아 사회의 법적, 제도적 복잡성을 보여주는 또 다른 측면입니다.
무역 네트워크와 문화 교류
티그리스강과 유프라테스강을 통한 수상 운송은 단순히 물품의 이동을 넘어, 문화와 아이디어의 교류를 촉진했습니다. 강을 따라 이동하는 상인들은 물품뿐만 아니라 새로운 기술, 종교적 관념, 예술적 스타일 등을 함께 가져왔을 것입니다.
메소포타미아는 지리적으로 아시아, 아프리카, 유럽을 연결하는 교차로에 위치해 있었기 때문에, 다양한 문화와의 접촉이 가능했습니다. 티그리스강과 유프라테스강을 통한 수상 운송은 이러한 문화 교류를 용이하게 했으며, 메소포타미아 문명의 문화적 다양성과 풍요로움에 기여했습니다.
환경적 도전과 적응
메소포타미아 사람들은 티그리스강과 유프라테스강의 불규칙한 수위 변동이라는 환경적 도전에 직면했습니다. 강수량의 변동에 따라 강물의 수위가 크게 달라져, 때로는 홍수로 인해 농작물과 가축, 주택이 유실되기도 했고, 반대로 물이 부족할 때는 작물이 말라죽기도 했습니다.
이러한 환경적 도전에 대응하기 위해 메소포타미아 사람들은 관개 시스템을 개발했습니다. 그들은 물을 저장하기 위한 대형 저수지를 파고, 운하를 건설하여 홍수로부터 주거지를 보호하고 농경지에 물을 공급했습니다. 이러한 수자원 관리 기술의 발전은 메소포타미아 문명의 성장에 핵심적인 역할을 했습니다.
또한, 메소포타미아 사람들은 강의 계절적 변화에 맞춰 수상 운송 방식을 조정했습니다. 홍수 시즌에는 더 큰 배를 이용해 더 많은 화물을 운송할 수 있었고, 건기에는 수심이 낮은 지역을 통과할 수 있는 작은 배를 사용했습니다. 이러한 적응력은 메소포타미아 사람들의 환경에 대한 깊은 이해와 기술적 창의성을 보여줍니다.
수메르 문명과 수상 운송
수메르 문명은 메소포타미아 남부 지역에서 발전한 최초의 도시 문명으로, 기원전 4500년경부터 번성하기 시작했습니다. 수메르인들은 티그리스강과 유프라테스강의 하류 지역에 정착하여 우르, 우룩, 라가시, 니푸르와 같은 도시 국가들을 건설했습니다. 이 도시들은 강과 인공 운하로 연결되어 있었으며, 이를 통해 활발한 교역이 이루어졌습니다.
수메르인들은 수상 운송을 위한 다양한 선박을 개발했습니다. 그들은 갈대를 엮어 만든 배, 가죽으로 덮인 나무 프레임의 배, 그리고 통나무를 파서 만든 카누 등을 사용했습니다. 이러한 배들은 주로 화물 운송에 사용되었으며, 도시 간 무역의 핵심 수단이었습니다.
수메르의 점토판에는 배와 수상 운송에 관한 기록이 남아 있습니다. 이 기록들은 배의 크기, 화물의 종류, 운송 경로 등에 대한 정보를 제공합니다. 예를 들어, 한 점토판에는 우르 도시에서 출발하여 페르시아만을 거쳐 인더스 계곡까지 가는 무역 항로가 기록되어 있습니다. 이는 수메르인들이 장거리 해상 무역에도 참여했음을 보여줍니다.
수메르인들은 또한 운하 시스템을 개발하여 자연적인 수로를 보완했습니다. 이 운하들은 도시 내부와 도시 간을 연결하는 교통망으로 기능했으며, 농업용 관개 시스템으로도 사용되었습니다. 운하의 건설과 유지는 중앙집권적인 권위와 조직적인 노동력을 필요로 했으며, 이는 수메르 도시 국가의 정치적 발전과 연관됩니다.
바빌로니아와 아시리아의 수상 운송
바빌로니아와 아시리아는 수메르 이후 메소포타미아 지역에서 번성한 문명으로, 그들 역시 티그리스강과 유프라테스강을 통한 수상 운송에 크게 의존했습니다.
바빌로니아는 유프라테스강 중류 지역에 위치했으며, 바빌론을 중심으로 강력한 제국을 건설했습니다. 함무라비 왕(기원전 1792-1750년)의 통치 시기에 바빌로니아는 정치적, 경제적으로 번성했으며, 이 시기에 수상 운송 시스템도 크게 발전했습니다. 함무라비 법전에는 선박의 임대료, 선원의 임금, 화물의 손상이나 분실에 대한 책임 등 수상 운송과 관련된 다양한 법률이 포함되어 있었습니다.
아시리아는 티그리스강 상류 지역에 위치했으며, 군사적 힘을 바탕으로 넓은 영토를 지배했습니다. 아시리아인들은 군사적 목적으로도 수상 운송을 활용했습니다. 그들은 군대와 군수품을 빠르게 이동시키기 위해 강을 이용했으며, 이는 아시리아 제국의 군사적 성공에 기여했습니다.
바빌로니아와 아시리아의 수상 운송 시스템은 수메르 시대보다 더 복잡하고 효율적이었습니다. 그들은 더 큰 배를 건조하고, 더 넓은 운하 네트워크를 구축했으며, 더 체계적인 물류 관리 시스템을 개발했습니다. 이러한 발전은 메소포타미아 문명의 지속적인 기술적, 제도적 혁신을 보여줍니다.
페르시아 제국과 메소포타미아 수상 운송의 통합
기원전 6세기에 페르시아 제국이 메소포타미아 지역을 정복한 후, 티그리스강과 유프라테스강의 수상 운송 시스템은 더 넓은 제국적 교통 네트워크의 일부가 되었습니다. 페르시아인들은 기존의 수상 운송 인프라를 유지하고 확장했으며, 이를 자신들의 광범위한 도로 네트워크(왕의 길)와 통합했습니다.
다리우스 1세(기원전 522-486년)의 통치 시기에 페르시아 제국은 인더스강에서 나일강까지 이르는 거대한 영토를 지배했습니다. 이 시기에 메소포타미아의 수상 운송 시스템은 제국적 차원의 무역과 통신 네트워크의 중요한 부분이 되었습니다. 페르시아인들은 티그리스강과 유프라테스강을 통해 인도, 아라비아, 이집트와의 무역을 촉진했으며, 이는 메소포타미아 지역의 경제적 번영에 기여했습니다.
페르시아 시대에는 또한 수상 운송의 관리와 규제가 더욱 체계화되었습니다. 제국적 차원의 표준화된 규칙과 절차가 도입되었으며, 이는 수상 운송의 효율성과 안전성을 향상시켰습니다. 또한, 페르시아인들은 새로운 유형의 배와 항해 기술을 메소포타미아에 도입했으며, 이는 수상 운송 시스템의 기술적 발전을 촉진했습니다.
메소포타미아 수상 운송의 사회적 영향
티그리스강과 유프라테스강을 통한 수상 운송은 메소포타미아 사회의 다양한 측면에 영향을 미쳤습니다. 수상 운송은 새로운 직업과 사회적 역할을 창출했으며, 이는 메소포타미아 사회의 복잡성과 다양성을 증가시켰습니다.
선원, 선박 건조자, 운하 관리자, 화물 취급자, 세관원 등 수상 운송과 관련된 다양한 직업이 발전했습니다. 이러한 직업들은 전문적인 기술과 지식을 필요로 했으며, 이는 메소포타미아 사회에서 전문화와 노동 분업의 발전을 촉진했습니다.
또한, 수상 운송은 사회적 이동성의 경로를 제공했습니다. 성공적인 상인이나 선박 소유자는 상당한 부와 사회적 지위를 획득할 수 있었습니다. 이는 메소포타미아 사회에서 경제적 활동을 통한 사회적 상승의 가능성을 보여줍니다.
수상 운송은 또한 문화적 교류와 혁신의 채널로 기능했습니다. 강을 따라 이동하는 상인과 여행자들은 새로운 아이디어, 기술, 문화적 관행을 전파했습니다. 이는 메소포타미아 문명의 문화적 다양성과 창의성에 기여했습니다.
메소포타미아 수상 운송의 종교적, 신화적 측면
티그리스강과 유프라테스강은 메소포타미아 사람들의 종교적, 신화적 세계관에서도 중요한 위치를 차지했습니다. 강은 생명의 원천이자 신들의 선물로 여겨졌으며, 많은 종교적 의식과 신화가 강과 수상 운송과 관련되어 있었습니다.
메소포타미아의 창조 신화에서 강은 종종 원초적인 물(압수, Apsu)에서 비롯된 것으로 묘사됩니다. 바빌로니아의 창조 서사시 '에누마 엘리시'에서는 담수의 신 압수와 염수의 여신 티아마트의 결합으로부터 세계가 창조되었다고 설명합니다. 이는 메소포타미아 사람들이 물과 강을 우주의 기원과 연결시켰음을 보여줍니다.
또한, 메소포타미아의 여러 신들은 강과 수상 운송과 관련이 있었습니다. 예를 들어, 수메르의 신 엔키(Enki)는 담수, 지혜, 마법의 신으로, 지하수의 신비로운 영역인 압수를 다스렸습니다. 엔키는 또한 문명의 기술과 지식을 인간에게 가져다 준 신으로 여겨졌으며, 이에는 배 만들기와 항해의 기술도 포함되었을 것입니다.
메소포타미아 사람들은 강을 건너는 것을 종종 삶과 죽음의 경계를 넘는 것으로 상징화했습니다. 길가메시 서사시에서는 주인공 길가메시가 죽음의 물을 건너 불멸을 추구하는 여정을 떠납니다. 이러한 신화적 모티프는 강과 수상 운송이 메소포타미아 사람들의 상상력과 영적 세계관에 깊이 새겨져 있었음을 보여줍니다.
메소포타미아 수상 운송의 고고학적 증거
고고학적 발굴은 고대 메소포타미아의 수상 운송 시스템에 대한 중요한 물리적 증거를 제공합니다. 발굴된 유물과 구조물은 문헌 자료와 함께 메소포타미아 수상 운송의 역사를 재구성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우르, 우룩, 니푸르, 바빌론 등의 고대 도시에서는 운하, 부두, 창고 등 수상 운송과 관련된 다양한 구조물이 발견되었습니다. 이러한 구조물은 메소포타미아 도시들이 수상 운송을 위한 상당한 인프라를 갖추고 있었음을 보여줍니다.
특히, 고대 도시 기르수에서 발견된 운하 시스템은 메소포타미아 수자원 관리의 정교함을 보여주는 중요한 사례입니다. 방사성 탄소 연대측정법을 통해 이 운하 시스템은 기원전 4800년에서 1600년 사이에 사용되었음이 확인되었습니다. 이는 메소포타미아 사람들이 매우 이른 시기부터 복잡한 수자원 관리 기술을 개발했음을 시사합니다.
또한, 고고학적 발굴에서는 배의 모형, 항해 도구, 화물 표시가 있는 점토판 등 수상 운송과 관련된 다양한 유물이 발견되었습니다. 이러한 유물은 메소포타미아 수상 운송의 기술적 측면과 일상적 운영에 대한 통찰을 제공합니다.
메소포타미아 수상 운송의 유산과 현대적 의미
고대 메소포타미아의 수상 운송 시스템은 인류 역사에서 최초의 대규모 물류 네트워크 중 하나로, 현대 물류 시스템의 중요한 선구자입니다. 메소포타미아 사람들이 개발한 수상 운송 기술과 관리 방식은 이후 다른 문명들에 의해 채택되고 발전되었으며, 오늘날까지 그 영향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메소포타미아의 수상 운송 시스템은 효율적인 물류가 경제 발전과 도시화에 미치는 중요성을 보여주는 역사적 사례입니다. 티그리스강과 유프라테스강을 통한 수상 운송은 도시 간 무역을 촉진하고, 자원의 효율적인 분배를 가능하게 했으며, 궁극적으로 메소포타미아 문명의 번영에 기여했습니다.
또한, 메소포타미아의 수자원 관리 기술과 운하 시스템은 현대의 수자원 관리와 내륙 수로 개발에 영감을 줄 수 있습니다. 메소포타미아 사람들은 제한된 기술적 수단으로도 복잡한 수자원 관리 시스템을 구축했으며, 이는 현대 사회가 직면한 수자원 관련 도전에 대응하는 데 시사점을 제공합니다.
현대 이라크와 시리아 지역에서는 티그리스강과 유프라테스강이 여전히 중요한 수자원이자 교통로로 기능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댐 건설, 관개 프로젝트, 기후 변화 등으로 인해 이 강들의 생태계와 수문학적 특성이 변화하고 있습니다. 고대 메소포타미아 사람들의 수자원 관리 경험은 이러한 현대적 도전에 대응하는 데 역사적 통찰을 제공할 수 있습니다.
결론: 메소포타미아 수상 운송의 역사적 의의
고대 메소포타미아의 티그리스강과 유프라테스강을 통한 수상 운송은 인류 최초의 도시 문명의 발전에 핵심적인 역할을 했습니다. 이 두 강은 단순히 농업을 위한 수원으로서만 기능한 것이 아니라, 메소포타미아 사회의 물류와 교역 시스템의 중추적 역할을 담당했습니다.
메소포타미아 사람들은 다양한 유형의 배와 뗏목을 개발하고, 운하 시스템을 구축하며, 수상 운송을 관리하기 위한 법적, 제도적 장치를 마련했습니다. 이러한 혁신은 메소포타미아 문명의 기술적, 사회적, 경제적 발전을 촉진했습니다.
수상 운송은 도시 간 무역을 활성화하고, 자원의 효율적인 분배를 가능하게 했으며, 문화와 아이디어의 교류를 촉진했습니다
출처
Algaze, G., "The Uruk World System: The Dynamics of Expansion of Early Mesopotamian Civilization", University of Chicago Press, 1993.
Potts, D.T., "Mesopotamian Civilization: The Material Foundations", Cornell University Press, 1997.
Wilkinson, T.J., "Hydraulic Landscapes and Irrigation Systems of Sumer", The Oriental Institute, University of Chicago, 2013.
Crawford, H., "Sumer and the Sumerians",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4.
Hritz, C., "Tracing Settlement Patterns and Channel Systems in Southern Mesopotamia Using Remote Sensing", Journal of Field Archaeology, Vol. 35, No. 2, 2010.
Leick, G., "Mesopotamia: The Invention of the City", Penguin Books, 2002.
Steinkeller, P., "The Administrative and Economic Organization of the Ur III State: The Core and the Periphery", School of Historical Studies, Institute for Advanced Study, 1991.
Schwartz, G.M., "The Archaeology of Syria: From Complex Hunter-Gatherers to Early Urban Societies", Cambridge World Archaeology,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6.
Van De Mieroop, M., "A History of the Ancient Near East ca. 3000-323 BC", Blackwell Publishing, 20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