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산업 정책: 보조금과 보호무역주의

by 이박사의 지식창고 2025. 4. 5.

 

산업 정책은 정부가 특정 산업이나 기업을 지원하기 위해 취하는 일련의 조치로, 국가 경제의 발전과 경쟁력 강화를 목표로 합니다. 오늘날 세계 각국은 경제 안보, 기후 변화 대응, 공급망 다변화 등의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다양한 형태의 산업 정책을 적극적으로 도입하고 있습니다. 이 글에서는 산업 정책의 주요 수단인 보조금과 보호무역주의에 대해 깊이 있게 살펴보고, 그 효과와 한계점을 분석하겠습니다.

산업 정책의 개념과 형태

산업 정책은 일반적으로 정부가 특정 경제 활동을 촉진하거나 재편하기 위해 기업에 제공하는 지원을 의미합니다. 특히 활동, 기술, 위치, 규모 또는 연령에 따라 선별된 기업이나 기업 유형을 대상으로 하는 정책이 주를 이룹니다7. 산업 정책은 크게 다음과 같은 형태로 나타납니다:

  1. 보조금: 정부가 특정 산업이나 기업에 제공하는 재정적 지원으로, 직접 지불, 세금 감면, 저금리 대출 등의 형태를 취합니다6.
  2. 보호무역 조치: 관세, 수입 할당량, 현지 콘텐츠 요구사항, 수출 제한 등을 통해 국내 산업을 외국 경쟁으로부터 보호하는 정책입니다7.
  3. 규제 및 규제 샌드박스: 특정 산업의 발전을 촉진하기 위한 규제 환경을 조성하는 정책입니다7.

최근 산업 정책은 환경 보호, 국가 안보, 지역 기반 포용성 등 다양한 목표를 동시에 추구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이러한 정책은 특히 COVID-19 위기 동안의 공급망 혼란, 지정학적 긴장,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등의 사건 이후 더욱 강화되었습니다7.

세계 각국의 산업 정책 사례

미국의 산업 정책

바이든 대통령 하에서 미국은 반도체 산업 육성을 위한 '칩스 법(CHIPS Act)'과 친환경 에너지 전환을 위한 '인플레이션 감축법(IRA)'을 시행했습니다2. 특히 칩스 법은 미국 내 반도체 제조 공장 건설 및 운영 비용과 아시아 지역과의 약 30%에 달하는 비용 격차를 크게 줄였습니다13.

미국의 이러한 산업 정책은 1970년대부터 2010년대까지 지속된 규제 완화와 세금 감면 중심의 경제 정책에서 교육과 산업 보조금으로의 결정적인 전환을 의미합니다13. 그러나 최첨단 반도체 공장 건설에는 최대 5년이 소요되는 반면 칩스 법은 5년 동안만 지속될 예정이라는 점에서 지속 가능성에 대한 우려도 존재합니다13.

유럽연합의 산업 정책

EU는 '그린 딜 산업 계획(Green Deal Industrial Plan)'과 자체 버전의 '칩스 법(Chips Act)'을 출범시켰습니다2. 이러한 정책들은 기후 변화에 대응하면서 동시에 유럽의 산업 경쟁력을 강화하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유럽의 산업 정책은 특히 친환경 기술과 디지털 전환에 초점을 맞추고 있습니다.

중국의 산업 정책

2015년 이후 시진핑 주석과 '중국 제조 2025(Made in China 2025)' 프로젝트 하에서 중국 정부는 경제 활동을 지시하는 데 더욱 적극적인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2. 중국 상장 기업의 이익 대비 정부 보조금 비중은 2012년 3%에서 2020년 5%로 증가했습니다2. 그러나 이러한 산업 정책이 중국 전체에 이익이 되었는지는 불분명합니다.

중국의 태양광 산업은 정부 보조금의 영향을 받은 대표적인 사례입니다. 중국 정부의 정책 보조금은 태양광 산업의 기술 진보와 시장 확대를 크게 촉진하여 중국이 빠르게 글로벌 태양광 분야의 선두주자로 도약하는 데 핵심적인 역할을 했습니다4. 그러나 이 과정에서 과잉 생산 능력, 의존성 등의 문제도 발생했습니다.

한국의 산업 정책

한국은 K-칩스 법(K-Chips Act)에 따라 반도체 기업에 세금 혜택을 제공하고 있습니다2. 또한 한국의 역사적인 산업 정책 사례로는 1973-79년의 중화학공업 육성 정책(Heavy Chemical and Industry Drive)이 있습니다. 옥스퍼드 대학의 네이선 레인(Nathan Lane)의 연구에 따르면, 이 정책은 현대 한국 경제를 창출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습니다2. 실제로 1973년 이후 20년 동안 한국의 1인당 실질 GDP는 349% 증가했습니다2.

최근 연구에 따르면, 중화학공업 육성 정책의 일환으로 보조금을 받은 기업들은 보조금이 종료된 후 30년 동안 보조금을 받지 않은 기업들보다 더 빠르게 성장했습니다14. 이는 학습 효과(learning-by-doing)와 금융 마찰의 조합을 통해 설명될 수 있습니다. 이 정책이 시행되지 않았다면 한국의 복지는 3-4% 낮았을 것이며, 총 복지 영향의 대부분은 학습 효과의 장기적인 생산성 이점에서 비롯되었습니다14.

인도의 산업 정책

인도는 많은 부문에 대한 대규모 '생산 연계 인센티브(production-linked incentives)' 제도를 설립했습니다2. 이 제도는 제조업체가 생산한 각 단위에 대해 일정 금액을 지불합니다. 그러나 최근 연구에 따르면, 모바일 폰 수입도 급증했으며, 이는 생산자들이 단순히 보조금을 받기 위해 인도를 통해 휴대폰을 재수출하고 있다는 것을 시사합니다2.

산업 정책의 효과와 한계

산업 정책의 긍정적 효과

  1. 경제 성장 촉진: 보조금은 단기적으로 경제 성장을 촉진하고 일자리를 창출하며 생산량을 증가시킬 수 있습니다6. 이는 경제 전반에 긍정적인 파급 효과를 가져올 수 있습니다.
  2. 기술 혁신 지원: 연구 개발(R&D) 보조금은 기업이 새로운 제품, 서비스 또는 기술로 이어질 수 있는 연구 개발 활동에 자금을 지원합니다6. 이는 장기적인 경제 성장과 경쟁력 향상에 기여할 수 있습니다.
  3. 산업 경쟁력 강화: 한국의 중화학공업 육성 정책과 같은 산업 정책은 국가의 산업 경쟁력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습니다. 보조금을 받은 기업들은 보조금이 종료된 후에도 장기적인 성장을 보였습니다14.
  4. 국가 안보 강화: 반도체와 같은 중요한 산업에 대한 지원은 국가 안보를 강화하고 중요한 공급망의 취약성을 줄일 수 있습니다5.

산업 정책의 한계와 문제점

  1. 시장 왜곡: 보조금은 시장 경쟁을 왜곡하고 시장 비효율성을 초래할 수 있습니다6. 이는 자원의 비효율적 배분으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2. 국제 무역 분쟁: 보조금은 국가 간 무역 분쟁의 원인이 될 수 있습니다6. 한 국가의 보조금 정책은 다른 국가의 산업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3. 비용 대비 효과: 산업 정책의 비용 대비 효과에 대한 의문이 제기되고 있습니다. 일부 연구자들은 인도의 생산 연계 인센티브 제도가 "대규모 국내 및 외국 기업에 대한 공공 자원의 엄청나고 잠재적으로 잘못된 이전"일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고 지적합니다2.
  4. 보호무역주의의 부작용: 보호무역주의 정책은 소비자 가격 상승, 혁신 저해, 경제 성장 둔화 등의 부작용을 초래할 수 있습니다9.

산업 정책의 역사적 맥락과 현대적 의미

역사적 산업 정책의 성공 사례

산업 정책은 역사적으로 많은 국가의 산업화 과정에서 중요한 역할을 했습니다. 영국의 산업 혁명도 제조품에 대한 관세와 원자재에 대한 보조금과 같은 보호무역 정책에 의해 촉진되었습니다11. 19세기 미국도 영국의 수입품으로부터 섬유, 철강, 기계 등의 산업을 보호하기 위해 관세를 사용했습니다11.

20세기 후반에는 일본, 한국, 대만과 같은 동아시아 호랑이들이 국가 주도 산업화를 통해 농업 경제에서 산업 경제로 전환했습니다11. 이들 국가는 유치 산업이 발전하는 동안 외국 경쟁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한 일시적인 보호무역주의, 수출 보조금, 환율 '조작' 등의 정책을 사용했습니다11.

현대 산업 정책의 도전과 기회

현대 산업 정책은 과거와는 다른 도전과 기회에 직면해 있습니다. 글로벌화된 세계 경제에서 보호무역주의, 수출 보조금, 환율 조작은 비난받는 경향이 있습니다11. 그러나 최근의 경제 충격, 변동성 있는 인플레이션, 지정학적 긴장 등으로 인해 많은 국가들이 산업 정책으로 다시 눈을 돌리고 있습니다3.

특히 중국의 지속적인 보조금 정책은 다른 국가들이 자국 시장을 보호하고 자체 생산을 보조하기 위해 대응하도록 만들고 있습니다2. 이는 일종의 '죄수의 딜레마'로, 한 국가가 대규모 보조금을 지속적으로 제공하고, 외국 수입을 제한하며, 수출 덤핑을 장려하고, 지적 재산권을 존중하지 않는다면, 다른 국가들은 시장이 남용되는 것을 막기 위해 유사한 방식으로 대응할 수밖에 없습니다2.

산업 정책의 미래 전망

산업 정책의 지속 가능성

산업 정책의 지속 가능성은 중요한 문제입니다. 예를 들어, 미국의 칩스 법은 5년 동안만 지속될 예정이지만, 최첨단 반도체 공장 건설에는 최대 5년이 소요됩니다13. 대조적으로, TSMC는 매년 300억 달러 이상을 제조 능력 향상에 투자하고 있으며, 중국은 자국의 반도체 기업에 훨씬 더 많은 투자를 하고 있습니다13. 이러한 상황에서 산업 정책의 지속적인 투자 수준을 유지하는 것은 상당한 도전이 될 것입니다.

산업 정책의 균형 잡힌 접근

산업 정책의 미래는 균형 잡힌 접근에 달려 있습니다. 정책 입안자들은 경제적 불평등과 국가 안보에 대한 우려를 해결하면서 동시에 보호무역주의와 산업 정책의 함정을 피해야 합니다2. 이를 위해서는 기본 연구와 인프라에 대한 공공 자금 투자, 특정 제품이나 부문을 대상으로 하지 않고 혁신과 역동성을 더 넓게 증가시키는 데 초점을 맞추는 것이 중요합니다5.

한국의 산업 정책 사례 심층 분석

중화학공업 육성 정책의 장기적 효과

한국의 중화학공업 육성 정책(1973-79)은 산업 정책의 장기적 효과를 보여주는 좋은 사례입니다. 이 정책은 박정희 정부가 한국 경제를 노동 집약적 산업에서 자본 집약적 산업으로 전환하기 위해 시행한 것으로, 철강, 조선, 석유화학, 기계, 전자, 비철금속 등 6개 전략 산업을 집중 육성했습니다.

최근 연구에 따르면, 이 정책의 일환으로 보조금을 받은 기업들은 보조금이 종료된 후 30년 동안 보조금을 받지 않은 기업들보다 더 빠르게 성장했습니다14. 이는 학습 효과와 금융 마찰의 조합을 통해 설명될 수 있습니다. 학습 효과란 생산 과정에서 경험이 쌓이면서 생산성이 향상되는 현상을 말하며, 금융 마찰은 기업이 자금을 조달하는 데 있어서의 제약을 의미합니다.

최근 산업 정책은 전 세계적으로 큰 관심을 받고 있습니다. 2017년부터 2023년 사이에 산업 정책의 사용은 9배 증가했으며, 선진국들이 이러한 증가를 주도하고 있습니다6. 2023년에만 선진국들은 새로운 산업 정책의 3분의 2를 시행했습니다. 그러나 신흥 시장 및 개발도상국들도 뒤처지지 않고 있으며, 2023년에만 500개 이상의 새로운 산업 정책을 시행했습니다6.

산업 정책의 성공 요인

역사적 경험에 따르면 산업 정책이 성공할 가능성을 높이는 몇 가지 원칙이 있습니다:

  1. 기술 채택에 초점: 산업 정책은 혁신보다는 기존 첨단 기술의 채택에 초점을 맞출 때 성공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예를 들어, 브라질은 2000년대 초 혁신 주도 성장 전략의 일환으로 외국 지적 재산권에 세금을 부과하고 국내 특허 출원에 보조금을 지급했습니다. 그 결과는 저품질 특허와 미미한 성장이었습니다6.
  2. 경쟁에 초점: 경쟁을 촉진하는 정책은 산업의 역동성과 혁신을 증가시킬 수 있습니다. 한국의 경우, 1997년 아시아 금융 위기 이후 재벌 구조조정과 비재벌 기업 및 외국 투자자를 위한 진입 장벽 제거와 같은 구조적 개혁을 시행했습니다. 이로 인해 반독점 기관의 집행이 강화되었고, 외국인 직접 투자가 GDP의 0.5%에서 2%로 증가했습니다7.
  3. 무역 제한 조치 회피: 개방적인 무역 정책은 산업의 경쟁력을 향상시키는 데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금융 개방성은 1970년 이후 크게 증가했지만, 신흥 시장에서는 선진국보다 훨씬 적게 증가했습니다6.
  4. 투명성과 모니터링: 산업 정책의 효과를 지속적으로 평가하고 필요에 따라 조정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최근 산업 정책의 사례

미국의 산업 정책

미국은 반도체 산업 육성을 위한 '칩스 법(CHIPS Act)'과 친환경 에너지 전환을 위한 '인플레이션 감축법(IRA)'을 시행했습니다11. 이러한 정책들은 미국 내 반도체 제조 능력을 강화하고 친환경 기술 개발을 촉진하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유럽연합의 산업 정책

EU는 2023년 '유럽 칩스 법(European Chips Act)'을 출범시켰습니다. 이 정책은 EU의 반도체 생태계를 강화하고 공급망의 회복력을 보장하며 외부 의존성을 줄이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12. 유럽 칩스 법의 주요 구성 요소는 다음과 같습니다:

  • 연구 및 기술 리더십 강화
  • 첨단 칩 설계, 제조 및 패키징에서 유럽의 혁신 능력 구축 및 강화
  • 2030년까지 생산을 증가시키기 위한 적절한 프레임워크 구축
  • 기술 부족 문제 해결 및 새로운 인재 유치
  • 글로벌 반도체 공급망에 대한 심층적인 이해 개발

일본의 산업 정책

COVID-19 팬데믹 동안의 심각한 공급망 혼란 이후, 일본 정부는 새로운 프로그램을 통해 더 큰 회복력을 구축하고자 합니다. 경제산업성은 "일본에서 이러한 중요한 제품과 재료를 위한 새로운 공장을 건설하고 새로운 시설을 도입하는 기업을 지원함으로써 공급망 회복력을 강화"하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12.

이 프로그램은 총 280개의 자금 신청을 받았으며, 그 중 151개가 정부에 의해 승인되었습니다. 이 기업들은 총 13억 달러의 투자를 공유했습니다. 정부에 따르면, 이 자금은 반도체, 전기차 부품, 풍력 터빈 부품 등 주로 해외에서 생산되는 중요한 부품의 국내 생산을 강화하는 데 사용될 것입니다12.

산업 정책의 도전과 한계

이행의 어려움

산업 정책을 성공적으로 이행하는 것은 쉽지 않습니다. 예를 들어, TSMC의 창립자인 모리스 창(Morris Chang)은 미국 내 칩 제조를 재건하려는 미국의 노력이 실패할 운명이라고 낸시 펠로시(Nancy Pelosi)에게 말했습니다. 이 회사는 아리조나에 있는 첫 번째 공장의 생산이 전문 인력 부족으로 인해 2025년까지 지연될 것이라고 말했습니다2.

비용 대비 가치

산업 정책의 비용 대비 가치에 대한 의문이 제기되고 있습니다. 인도의 생산 연계 인센티브(PLI) 제도에 대해 논의한 연구자들은 "이 제도가 대규모 국내 및 외국 기업에 대한 공공 자원의 엄청나고 잠재적으로 잘못된 이전일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고 지적했습니다2. 영국 국가감사원의 보고서는 42억 파운드(52억 달러)의 넷제로 자금 지원 뒤에 있는 "거버넌스 및 전달 메커니즘"이 개선되어야 한다고 언급했습니다2.

이자율 변동성의 영향

2025년 2월 발표된 연구에 따르면, 이자율 변동성은 기업 파산 위험에 장단기적 영향을 미칩니다. 높은 이자율은 기업의 신용 금융 비용을 증가시키지만, 이 연구는 이러한 전통적인 신용 전송 메커니즘이 기업 파산 위험에 미치는 직접적인 영향이 제한적이라는 것을 발견했습니다1.

대신, 부채 금융 비용 상승으로 인한 기업 행동의 변화가 파산 위험의 근본 원인입니다. 단기적으로, 이자율 상승은 기업이 이익 극대화를 위해 신용 금융을 공급망 금융으로 대체하도록 유도합니다. 이러한 단기 부채와 장기 투자의 불일치는 공급망의 지속 가능성을 약화시켜 결국 금융 안전성을 감소시킵니다1.

장기적으로, 높은 이자율은 산업의 과잉 생산 능력 문제를 악화시켜 생산과 판매 균형의 지속 불가능성을 증가시킵니다1.

한국의 산업 정책 성과와 전망

2025년 한국 경제 및 산업 전망

2025년 글로벌 경제 상황은 주요 경제국의 중앙은행이 금리 인하를 시작함에 따라 소비자 심리 개선, 투자 증가, 글로벌 수요의 점진적 회복이 특징이 될 것으로 예상됩니다10. 그러나 한국의 13개 주력 산업은 여전히 수많은 위험에 직면할 것이며, 이러한 위험은 계속해서 성장 전망에 부담을 줄 것입니다. 주요 불확실성에는 중국의 경제 성장 침체, 지정학적 갈등과 전쟁, 그리고 더욱 높아지는 무역 장벽이 포함됩니다10.

도널드 트럼프가 미국의 47대 대통령으로 당선된 것은 추가적인 복잡성을 가져옵니다. 트럼프는 미국으로 수입되는 모든 상품에 대해 보편적인 관세를 부과할 것을 약속했으며, 친환경 산업에 대한 경멸감을 표시했습니다. 미국의 주요 무역 파트너로서, 보편적인 관세는 한국의 주요 산업, 특히 자동차 부문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며, 더 친환경적인 자동차와 기술 촉진으로부터의 전환은 한국의 배터리 부문에 영향을 미칠 것입니다10.

그러나 트럼프의 모든 정책이 반드시 한국에 해를 끼치는 것은 아닙니다. 중국을 대상으로 하는 무역 통제 및 기타 조치는 한국의 조선, ICT, 디스플레이 부문에 이익이 될 수 있으며, 화석 연료 부문에서 사용되는 기계류의 선적은 증가할 가능성이 높습니다10.

2025년 전망은 한국의 13개 주력 산업에 대해 혼합된 결과를 보여줍니다. 반도체, 정보 통신 기기, 바이오헬스 산업을 포함하는 IT 부문은 수출, 국내 수요 및 생산에서 강력한 성장을 기록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그러나 조선, 가전제품, 디스플레이 산업을 포함한 다른 주요 부문은 정체되거나 심지어 감소할 가능성이 더 높습니다. 자동차, 철강, 섬유, 배터리 산업에 대한 전망은 약한 수요와 치열한 경쟁을 반영하여 비관적입니다. 석유화학, 석유 정제, 일반 기계 부문은 개선된 수요 조건과 가격 조정에 의해 점차 회복 단계에 진입할 것으로 예상됩니다10.

결론

산업 정책은 국가 경제의 발전과 경쟁력 강화를 위한 중요한 도구이지만, 그 효과와 한계에 대한 논쟁은 계속되고 있습니다. 한국의 중화학공업 육성 정책과 같은 성공 사례가 있는 반면, 많은 산업 정책이 기대한 결과를 달성하지 못했습니다. 산업 정책의 성공을 위해서는 기술 채택, 경쟁 촉진, 무역 개방성, 투명성과 모니터링과 같은 핵심 원칙을 따르는 것이 중요합니다.

2025년을 향해 나아가면서, 산업 정책은 글로벌 경제 환경의 변화, 지정학적 긴장, 기술 혁신의 가속화 등 다양한 도전에 직면할 것입니다. 이러한 도전에 효과적으로 대응하기 위해서는 산업 정책의 설계와 이행에 있어 유연성과 적응성이 필요할 것입니다.

SEO 키워드: 산업정책, 보조금정책, 보호무역주의, 한국산업정책, 중화학공업육성정책, 글로벌산업정책, 경제성장전략, 기술혁신정책, 무역정책, 2025년경제전망

Citations:

  1. https://www.ncbi.nlm.nih.gov/pmc/articles/PMC11805371/
  2. https://www.reddit.com/r/neoliberal/comments/1cjptaf/governments_across_the_world_are_rediscovering/
  3. https://tradetalkspodcast.com/wp-content/uploads/2023/07/Episode-189-Transcript-Complete.pdf
  4. https://www.semanticscholar.org/paper/a9ca283fd6f14d89cf59dd691933a44e7634ed90
  5. https://cepr.org/voxeu/columns/when-industrial-policy-worked-case-south-korea
  6. https://blogs.worldbank.org/en/developmenttalk/the-renaissance-of-industrial-policy--known-knowns--known-unknow
  7. https://www.reddit.com/r/neoliberal/comments/16e6vg1/escaping_the_middle_income_trap_the_korean_case/
  8. https://mpra.ub.uni-muenchen.de/122277/1/MPRA_paper_122277.pdf
  9. https://www.semanticscholar.org/paper/4df7b9d472a0b0df2f93628a5cf24c1d5e8ef6a7
  10. https://papers.ssrn.com/sol3/papers.cfm?abstract_id=5132305
  11. https://www.lowyinstitute.org/the-interpreter/if-industrial-policy-new-candy-house-developing-countries-need-gain-more-just-bread
  12. https://www.weforum.org/stories/2024/07/industrial-policies-geopolitics-economy-government/
  13. https://ecdpm.org/work/towards-continental-industrial-policy
  14. https://www.semanticscholar.org/paper/49cf6d45def80afa6d4ca60f7aaef5831e51d469
  15. https://www.semanticscholar.org/paper/58a2a8ae3ea544b99335544c93534c47250f1b09
  16. https://www.semanticscholar.org/paper/5eeb226df472ad7b5c2acba63cbe2c8204c55810
  17. https://www.semanticscholar.org/paper/54482903285caca02086a6b7372e985cc40d7445
  18. https://www.reddit.com/r/korea/comments/16azgva/in_skorea_theres_this_silent_consensus_among/
  19. https://www.reddit.com/r/Economics/comments/1hz8s7q/americas_bet_on_industrial_policy_starts_to_pay/
  20. https://www.reddit.com/r/AskHistorians/comments/12au3b/south_korea_is_known_to_be_the_best_example_of_a/
  21. https://www.reddit.com/r/korea/comments/11amhwv/the_effect_of_having_a_birthrate_of_078/
  22. https://www.reddit.com/r/korea/comments/1ik2va3/do_you_think_south_koreas_chaebol_problem_is/
  23. https://www.reddit.com/r/neoliberal/comments/tygpy9/why_are_neoliberals_against_industrial_policy/
  24. https://www.reddit.com/r/Living_in_Korea/comments/1dfjtpl/how_serious_are_the_issues_for_the_future/
  25. https://www.reddit.com/r/EconomicHistory/comments/rjuoxc/south_koreas_promotion_of_heavy_and_chemical/
  26. https://www.reddit.com/r/neoliberal/comments/1dototk/noah_smith_and_industrial_policy/
  27. https://www.reddit.com/r/korea/comments/18lziif/worse_than_worst_case_koreas_population_is/
  28. https://www.reddit.com/r/IRstudies/comments/1jaj4tc/jpe_study_the_textbook_case_for_industrial_policy/
  29. https://www.reddit.com/r/Economics/comments/1ezfxrh/do_protectionism_and_stateled_industrialisation/
  30. https://www.reddit.com/r/neoliberal/comments/1cmembt/when_i_see_noah_smith_advocate_for_smart/
  31. https://www.reddit.com/r/AskEconomics/comments/pt06fq/why_was_protectionism_successful_in_south_korea/
  32. https://www.nber.org/digest/202111/south-koreas-industrial-policy-growth-inefficiency
  33. https://gpsnews.ucsd.edu/lessons-the-u-s-can-learn-from-50-years-of-korean-industrial-policy/
  34. https://www.nber.org/papers/w29263
  35. https://documents.worldbank.org/en/publication/documents-reports/documentdetail/313701468063245929/Industrial-policy-case-studies
  36. https://www.much.go.kr/en/contents.do?fid=03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