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 세계적으로 전자상거래가 폭발적으로 성장하는 가운데, 전통적인 소매업은 지속적인 하락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세계 전자상거래 시장은 2018년 2조9천억 달러에서 2023년 5조8천억 달러로 5년 만에 2배 가량 성장했으며, 연평균 성장률은 14.6%로 전체 소매업 성장률(4.4%)의 3.3배에 달합니다11. 반면 한국 내 전통시장은 지난 14년 동안 200개 넘게 감소했으며, 전통 소매업은 디지털 전환의 어려움과 시설 노후화 등의 문제로 어려움을 겪고 있습니다2. 본 보고서에서는 전자상거래의 급성장과 전통 소매업의 쇠퇴 현상을 심층적으로 분석하고, 두 영역의 향후 전망과 공존 가능성을 모색해보고자 합니다.
전자상거래 시장의 폭발적 성장
글로벌 시장 규모와 성장 추세
전자상거래는 지난 몇 년간 전례 없는 속도로 성장해왔습니다. 시장분석전문기관 트랜스포트인텔리전스(Ti)에 따르면 지난해 전세계 전자상거래 시장 규모는 594조 500억 원으로 2020년 495조 3,500억 원보다 19.9% 증가했습니다12. 이러한 성장세는 앞으로도 지속될 것으로 예상되며, 2026년까지 연평균 11.8% 성장해 시장 규모가 1,037조 2,000억 원에 이를 것으로 전망됩니다12.
특히 주목할 만한 점은 전자상거래 성장이 지역에 따라 차이를 보인다는 것입니다. 아시아·태평양, 북미, 유럽 지역 국가들의 전자상거래 물류시장은 전세계 전자상거래 물류시장의 95% 이상을 차지하고 있습니다12. 2021년 기준으로는 아시아·태평양 지역이 가장 큰 전자상거래 물류시장을 형성했으며, 북미와 유럽이 그 뒤를 이었습니다. 하지만 2026년에는 북미지역이 가장 큰 시장이 될 것으로 예측되고 있습니다12.
중국 기업의 급성장과 시장 지배력 강화
세계 전자상거래 시장에서 특히 눈에 띄는 것은 중국 기업들의 급성장입니다. 징동닷컴(중국 내수 기업), 알리바바(알리익스프레스 모기업), 핀둬둬(테무 모기업) 등 중국 전자상거래 플랫폼 '빅3'의 최근 5년간 매출액 연평균 성장률은 41.0%로 집계되었습니다11. 각 기업별로 살펴보면 징동닷컴 18%, 알리바바 26%, 핀둬둬 79%의 성장률을 보이고 있으며, 이는 세계 전자상거래 연평균 성장률의 2.8배 수준입니다11.
2023년 세계 전자상거래 기업의 매출 순위를 살펴보면, 1위는 미국 기업 아마존이지만, 이어서 징동닷컴(중국), 알리바바(중국), 핀둬둬(중국), 쿠팡(한국) 순으로 이어집니다11. 세계 전자상거래 5대 기업 가운데 무려 3개를 중국 기업이 차지하고 있다는 점은 중국 전자상거래 기업들의 글로벌 영향력이 얼마나 커졌는지를 여실히 보여줍니다.
한국 전자상거래 시장의 현황과 구조 변화
한국의 전자상거래 시장도 괄목할 만한 성장을 보이고 있습니다. 지난해 한국 전자상거래 시장 규모는 역대 최대인 228조9천억원으로, 중국, 미국, 영국, 일본에 이어 세계 5위를 차지했습니다11. 특히 한국은 전체 소매 판매에서 온라인 소매가 차지하는 비율이 28%에 이를 것으로 예상되어, 압도적인 온라인 쇼핑 이용자를 기반으로 전 세계에서 가장 큰 성장률을 기록하는 전자 상거래 물류 시장이 될 것으로 전망됩니다12.
그러나 주목해야 할 점은 한국 전자상거래 시장의 구조적 변화입니다. 한국 전자상거래 시장에서 지난해 중국 플랫폼을 통한 구매액은 전년 대비 121.2% 증가한 3조3천억원으로, 미국 플랫폼을 거친 구매액(1조9천억원)을 크게 웃돌고 있습니다11. 미국은 관련 통계가 작성된 2014년 이후 한국의 최대 전자상거래 구매국 자리를 유지해오다 지난해 처음으로 중국에 밀렸습니다11.
국내에서 활동하는 전자상거래 플랫폼을 분석해보면, 월간 사용자 수 기준으로 1위 쿠팡, 2위 알리익스프레스, 3위 11번가, 4위 테무, 5위 지(G)마켓 순입니다11. 불과 1년 반 전인 2022년 1월에는 1위 쿠팡, 2위 11번가, 3위 지마켓, 4위 티몬, 5위 알리익스프레스 순으로, 1~4위가 모두 한국 기업이었습니다11. 이처럼 짧은 기간에 중국 기업이 2위와 4위에 올라서면서 한국 전자상거래 시장의 판도가 빠르게 변화하고 있습니다.
전통 소매업의 쇠퇴 현상과 위기
전통시장의 감소 추세와 실태
전통시장은 지역 경제와 문화의 중심지로서 중요한 역할을 해왔지만, 최근 들어 급격한 감소 추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소상공인시장진흥공단에 따르면 2020년 기준 전국 전통시장 수는 1401개로, 14년 전인 2006년(1610개)보다 209개(13.0%) 감소했습니다2.
지역별로 살펴보면 같은 기간에 경북이 191개에서 138개로 53개 줄어들어 감소 폭이 가장 컸고, 전남은 123개에서 90개로 30개 줄었습니다. 또한 부산(-23개), 충남(-20개), 경남(-18개), 서울(-17개), 경기(-15개) 등도 많은 감소를 보였습니다2. 전통시장의 감소로 점포 수도 2006년 22만5725개에서 2020년 20만7145개로 1만8580개(8.2%)가 사라졌으며, 전통시장 한 곳당 일평균 매출액은 같은 기간에 5787만원에서 5732만원으로 1.0% 감소했습니다2.
전통 소매업 쇠퇴의 주요 원인
전통 소매업이 쇠퇴하는 데는 여러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하고 있습니다. 가장 큰 원인으로는 대기업이 운영하는 대형마트와 기업형 슈퍼마켓(SSM), 편의점 등이 늘어나면서 전통시장의 역할을 대체한 점을 꼽을 수 있습니다2. 실제로 백화점의 소매판매액은 2015년 1~9월 20조6000억원에서 2022년 1~9월 27조6000억원으로 34.1% 늘었고, 편의점은 12조1000억원에서 23조2000억원으로 거의 2배 가까이 증가했습니다2.
또한 코로나19를 계기로 강화된 온라인 유통구조에 대응하지 못한 점도 중요한 원인입니다. 인터넷쇼핑과 TV홈쇼핑, 배달 등 무점포소매의 소매판매액은 2015년 1~9월 33조9000억원에서 2022년 1~9월 87조2000억원으로 157.4% 증가했습니다2. 이처럼 소비자들의 구매 패턴이 온라인으로 급격히 이동하는 상황에서 전통 소매업이 이러한 변화에 적응하지 못하고 있는 것입니다.
그 외에도 시설 노후화와 주차 문제 등이 소비자들이 전통시장을 외면하는 이유로 꼽힙니다2. 각 지방자치단체별로 전통시장 현대화 사업을 추진하면서 전통시장 중 고객주차장을 갖춘 비율은 2006년 36.2%에서 2020년 82.8%로 증가했지만, 여전히 고객 차량을 모두 수용할 수 있는 수준이 아니라는 점은 해결해야 할 과제로 남아있습니다2.
청년 창업 실패와 전통시장 활성화 정책의 한계
전통시장을 활성화하기 위한 다양한 정책이 시행되었으나, 그 성과는 미미한 상황입니다. 특히 청년 실업을 해소하고 지역 상권을 살리기 위해 도입된 청년 상점들이 잇따라 폐업하고 있습니다4. 전국적으로 청년 점포 매장 390여 개 가운데 2년이 채 안 돼 120여 개가 문을 닫았으며, 초기 임대료 등 정부가 3억 원 가까이 지원했음에도 불구하고 1년 만에 모든 상점이 폐업한 사례도 있습니다4.
청년 창업자들은 유동인구가 기대만큼 늘지 않았고, 개업 효과도 오래가지 못했다고 지적합니다4. 이는 단순히 젊은 인력을 유입시키는 것만으로는 전통시장의 구조적 문제를 해결하기 어렵다는 것을 보여줍니다. 정부 지원이 끝나자 홀로서기에 실패하는 경우가 많아, 지속가능한 전통시장 활성화 방안이 필요한 상황입니다.
전자상거래 성공 요인 분석
주요 전자상거래 기업의 성공 전략
전자상거래 기업들이 급성장할 수 있었던 데는 여러 성공 요인이 있습니다. 세계 최대 전자상거래 기업인 아마존은 다양한 제품 선택과 편리한 구매 경험을 제공하고, 개인화된 추천 시스템과 신뢰할 수 있는 리뷰 제공, 빠른 배송과 운영 효율성 강조 등의 전략을 통해 성공했습니다3.
이베이는 경매 시스템을 통한 중고 제품 거래와 저렴한 가격 제공, 글로벌 마켓 확장으로 다양한 국가에서의 거래 지원, 판매자 보호 정책으로 신뢰성과 안전성 확보 등의 전략으로 차별화했습니다3. 알리바바는 B2B 및 B2C 온라인 거래 플랫폼 제공, 국제 무역과 글로벌 시장 개척에 집중, 다양한 판매자와의 협력으로 다양한 상품 보유 등을 통해 성장했습니다3.
한국의 대표적인 전자상거래 기업인 쿠팡은 신속한 배송과 편리한 반품 정책 제공, 회원 혜택과 할인 이벤트로 고객 유치, 자체 물류 시스템과 효율적인 운영으로 고객 만족도를 높이는 전략을 취했습니다3. 이처럼 각 기업들은 자사의 강점을 살린 차별화된 전략을 통해 시장에서 성공할 수 있었습니다.
첨단 기술의 활용과 혁신
전자상거래의 급성장에는 첨단 기술의 활용이 큰 역할을 했습니다. 증강 현실(AR) 기술은 전자상거래 플랫폼의 진정성, 사용자 경험 및 전반적인 매력을 향상시키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5. 디지털 요소를 물리적 환경에 원활하게 통합함으로써 고객은 구매 결정을 내리기 전에 제품을 실제 상황에서 시각화할 수 있어 온라인 쇼핑의 불확실성을 줄여줍니다5.
음성 검색 기술의 확대도 주목할 만한 트렌드입니다. 자연어 처리(NLP)와 인공 지능(AI) 기술이 발전함에 따라 Google Assistant, Amazon Alexa, Apple Siri와 같은 음성 도우미는 음성 쿼리를 이해하고 응답하는 데 점점 더 능숙해지고 있습니다5. 이로 인해 사용자에게 정보와 서비스에 대한 보다 편리하고 효율적인 접근 방식을 제공하여 전자상거래 경험을 간소화하고 있습니다.
인공지능(AI) 기술은 소매업체가 소비자를 이해하고 개인화된 경험을 제공하는 데 도움을 주고 있습니다5. AI를 활용한 추천 시스템은 고객의 구매 이력과 선호도를 분석하여 맞춤형 제품을 추천함으로써 고객 경험을 향상시키고 매출 증대에 기여합니다.
효율적인 물류 시스템과 배송 네트워크
전자상거래 기업들의 성공에는 효율적인 물류 시스템과 배송 네트워크 구축이 중요한 역할을 했습니다. 쿠팡의 경우 자체 물류 시스템을 구축하여 '로켓배송'이라는 신속한 배송 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고객 만족도를 높였습니다3. 아마존도 '아마존 프라임'이라는 빠른 배송 서비스를 통해 고객 충성도를 높이고 있습니다3.
특히 코로나19 이후 비대면 소비가 증가하면서 빠르고 정확한 배송 서비스의 중요성이 더욱 부각되었습니다. 전자상거래 기업들은 물류 센터 자동화, 배송 경로 최적화, 라스트 마일 배송 솔루션 등 다양한 기술과 시스템을 도입하여 배송 효율성을 높이고 있습니다. 이러한 물류 혁신은 고객 만족도를 높이는 동시에 운영 비용을 절감하는 효과를 가져오고 있습니다.
온·오프라인 융합과 미래 전망
옴니채널 전략의 중요성
미래 소매업의 성공 키워드는 '옴니채널'입니다. 온라인과 오프라인의 경계가 점차 희미해지면서, 소비자들은 채널 간 원활한 이동과 일관된 경험을 기대하고 있습니다. 이에 대응하여 전통적인 오프라인 기업들은 온라인 채널을 강화하고, 전자상거래 기업들은 오프라인 매장을 확대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아마존의 경우 Amazon Go와 같은 무인 오프라인 매장을 열며 오프라인 진출을 확대하고 있고, 반대로 전통적인 오프라인 기업들도 온라인 쇼핑몰을 구축하여 디지털 전환을 시도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옴니채널 전략은 소비자들에게 보다 편리하고 통합된 쇼핑 경험을 제공하여 기업의 경쟁력을 강화하는 데 기여합니다.
전통 소매업의 혁신과 생존 전략
전통 소매업이 생존하기 위해서는 디지털 전환과 함께 차별화된 경쟁력을 확보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전통시장만이 제공할 수 있는 고유한 경험과 가치를 강화하고, 지역 커뮤니티 중심의 문화공간으로서의 역할을 확대해야 합니다.
또한 전통시장도 온라인으로 장보기 서비스를 시작하는 등 디지털 기술을 적극 활용하여 소비자들의 변화된 니즈에 대응해야 합니다2. 정부도 전통시장과 소상공인의 디지털 역량 강화가 중요하다고 보고 온라인 교육과 배송 중요성 등을 강조하고 있지만, 아직은 크게 활성화되지 않은 상황입니다2.
정부 정책과 지원의 방향성
전통 소매업의 회복과 전자상거래와의 균형 발전을 위해서는 정부의 적절한 정책과 지원이 필요합니다. 단순히 임대료 지원이나 시설 현대화에 그치는 것이 아니라, 디지털 전환을 위한 교육과 컨설팅, 온라인 판로 개척 지원 등 실질적인 도움이 제공되어야 합니다.
중소벤처기업부 관계자는 "유통 시장 구조가 온라인 중심으로 점차 바뀌면서 전통시장과 소상공인도 디지털 역량을 강화할 수 있도록 최대한 유도하려고 방법을 계속 고민하고 있다"고 밝혔습니다2. 이처럼 정부는 전통 소매업이 디지털 시대에 적응할 수 있도록 다양한 지원책을 모색해야 할 것입니다.
결론: 변화하는 소비 생태계와 적응의 필요성
전자상거래의 급성장과 전통 소매업의 쇠퇴는 단순한 유통 채널의 변화를 넘어 소비 패러다임의 근본적인 변화를 의미합니다. 전자상거래는 편의성, 다양성, 개인화된 경험 등의 장점을 바탕으로 계속해서 성장할 것으로 예상되며, 특히 중국 기업들의 영향력이 더욱 확대될 것으로 보입니다.
반면 전통 소매업은 그들만의 고유한 가치를 재발견하고 디지털 기술을 적극 활용하여 변화하는 환경에 적응해야 합니다. 단순히 과거의 영광을 유지하려는 노력보다는 새로운 소비자 니즈에 맞게 변화하고 혁신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궁극적으로 소비자들에게 가장 중요한 것은 '가치 있는 경험'입니다. 온라인이든 오프라인이든 소비자들에게 차별화된 가치와 경험을 제공할 수 있는 기업과 시장만이 미래에도 살아남을 수 있을 것입니다. 전자상거래와 전통 소매업이 각자의 강점을 살리면서 서로 보완하는 방향으로 발전한다면, 소비자들에게 더욱 풍요로운 쇼핑 경험을 제공할 수 있을 것입니다.
Citations:
- https://www.semanticscholar.org/paper/303181c6cd1e2d08adee4cc075b8eff3c02c47fb
- https://www.khan.co.kr/article/202211210804001
- https://papatoy.tistory.com/entry/%EC%9E%98-%EC%95%8C%EB%A0%A4%EC%A7%84-%EC%9D%B8%ED%84%B0%EB%84%B7-%EC%87%BC%ED%95%91%EB%AA%B0-%EC%82%AC%EB%A1%80%EC%99%80-%EA%B7%B8%EB%93%A4%EC%9D%98-%EC%84%B1%EA%B3%B5-%EC%9A%94%EC%9D%B8
- https://news.kbs.co.kr/news/view.do?ncd=3631178
- https://appmaster.io/ko/blog/jeonjasanggeorae-teurendeu
- https://www.semanticscholar.org/paper/8ed63553454f186e169396f1bce83aa71d04d118
- https://www.semanticscholar.org/paper/b227f126fef75f53e80ae26d9d38dd7be383b938
- https://www.semanticscholar.org/paper/03c302b8b5117cf347c728ac364a21a757f9f68a
- https://www.semanticscholar.org/paper/99c696ab0f61e743b58995145c05a2e2e356d204
- https://www.semanticscholar.org/paper/4c3f66643dc8a7d87cac3273b609ed4f2fdf13fa
- https://www.hani.co.kr/arti/economy/economy_general/1145140.html
- https://www.cargo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49519
- https://www.semanticscholar.org/paper/298373c3345bb97385d6832c06b5a41fe1a5d68b
- https://www.semanticscholar.org/paper/cf03474e176bcfcee02217a8fb84cb8f0a21a072
- https://www.semanticscholar.org/paper/aa83a92538561b6d2aaddaed6ebbb68c4ba52f24
- https://www.semanticscholar.org/paper/ef1e266d6937fed3f3b2b396e718471af260357e
- https://brunch.co.kr/@johny1140/105
- http://contents2.kocw.or.kr/KOCW/document/2016/cup/parkminsook/10.pdf
- https://www.hjn24.com/news/articleView.html?idxno=109652
- https://www.donga.com/news/It/article/all/20230720/120338981/1
- https://www.nlic.go.kr/nlic/trendBookDt.action?command=DWLOAD&attachedFile=NDc4MA%3D%3D
- https://www.hankyung.com/article/2022121617981
- https://www.tosspayments.com/blog/articles/semo-113
- https://www.kyeonggi.com/article/20240122580423
- https://www.haesainfo.com/news/articleView.html?idxno=42095
- https://www.nlic.go.kr/nlic/news/202312/logis_c_01.html